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기] 굴뚝 연기
    환경직공무원/대기 2021. 10. 28. 10:25
    728x90
    반응형

    Q. 굴뚝에서 배출되어지는 연기의 모양과 대기상태를 설명한 것 중 환상형에 관하여 맞는 것은?

    상층이 불안정하고 하층이 안정할 경우에 나타나며, 연기가 서서히 확산된다.

    전체 대기층이 중립일 경우에 나타나며, 연기모양의 요동이 적은 형태이다.

    전체 대기층이 강한 안정 시에 나타나며, 지상에는 오염물질의 영향이 매우 크다.

    전체 대기층이 불안정할 경우에 나타나며, 연기의 모양이 상하로 요동이 심하며, 순간적으로 지상에 고농도가 될 수 있다.

     

    답: 4번 

     

    Q. 굴뚝연기의 모양 중 원추형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는 것은?

    대기안정도가 불안정한 조건에서 발생된다.

    복사역전층 내에 배출원이 존재할 때 발생한다.

    굴뚝 배출원에 의한 지표오염도가 가장 높은 plume 형태이다.

    구름이 많이 낀 날에 주로 관찰된다.

     

    답: 4번 

     

    Q. 맑은 여름날 해가 뜬 후부터 오후 최고기온이 나타나는 시간까지의 연기의 분산형을 가장 바르게 순서대로 나타낸 것은?:

    부채형 훈증형 원추형 환상형

     

    Q. 다음의 대기 상태와 연기의 형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환상형은 대기가 불안정 상태

    원추형은 대기가 중립 안정 상태

    구속형은 지표 역전층 형성

    지붕형은 하층에 역전층 형성

    훈증형은 굴뚝 높이 이상에서 역전층 형성

     

    답: 3번 

    구속형은 상층, 하층 동시에 역전층이 형성 

     


    연기의 형태(plum)

     

    환상형, 파상형, 밧줄형 Looping

     

     

    - 전체 대기층이 불안정할 경우에 나타남

    - 연기의 모양이 상하로 요동이 심하며, 순간적으로 지상에 고농도가 될 수 있다.

    - 대기가 불안정하여 난류가 심할 때 발생하며 굴뚝부근의 지표면에서 국지적이고 일시적인 고농도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는 굴뚝에서 부터 배출되는 연기형태

    - 실제기온감률이 단열감률보다 클 때 볼 수 있고 날씨가 맑고 따뜻할 때 나타나며 연기는 상하로 수직운동을 하기 때문에 대기오염물질이 빨리 희석되어 지표면까지 이동하는 굴뚝연기형태

    - 상하층 공기의 혼합이 왕성하여 오염물질을 잘 확산시킨다

    - 지표면이 가열되고 바람이 약하고 맑은 한 낮에 잘 일어나고 풍속이 매우 강해 혼합이 크게 일어날 때 발생되기도 한다

     

    원추형, 추형, Coning : 중립조건일 때 발생, Ri=0

     

     

    - 바람이 다소 강하거나 구름이 많이 낀 경우 대기상태는 중립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 때 굴뚝에서 배출되는 연기의 형태

    - 밤낮 구분없이 생긴다

    - 연기가 수직이동보다 수평이동이 크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멀리까지 퍼져 나가고 지표면 가까이에 영향이 적다

    - 오염의 단면분포가 전형적인 가우시안 분포를 나타낸다

     

    부채형, fanning : 강안정(기온역전)

     

     

    - 기온역전층: 대기 중 오염물질의 확산과 이동이 억제됨

    - 고기압 구역에서 하늘이 맑고 바람이 약한 매우 안정한 상태(복사역전)일 때 아침과 새벽(일출전)에 잘 발생한다

    - 상하의 확산 폭이 적어 연기의 수직방향 분산이 억제된다

    - 굴뚝 부근 지표에 미치는 오염도는 적을 수 있으나 굴뚝이 낮으면 오염을 일으킬 수 있따

    - 풍향이 자주 바뀌면 뱀이 기어가는 모양을 보이기도 한다

    - 역전 상태에서 흐르는 연기의 형태로서, 연기는 수평으로는 일부 혼합되나 수직으로는 거의 혼합이 없다. 공기는 안정되어 있고 수직으로의 환류는 억압받고 있기 때문이다.

     

    ④ 지붕형, lofting, 처마형, 상승형

     

     

    - 굴뚝의 높이보다는 더 낮게 지표 가까이에 역전층이 이루어져 있다

    상층은이 불안정상태, 하층은 안정할때 발생 

    - 연기모양은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과도기적 현상이다 

    - 주로 고기압 지역에서 하늘이 맑고 바람이 약한 경우에 초저녁으로부터 아침에 걸쳐 발생하기 쉽다.

     

    ⑤ 훈증형, fumigation

     

     

    - 야간에 형성된 복사역전층은 일출 후 지표면이 가열되면 지표면에서부터 역전이 해소되어 하층은 대류가 활발하여 불안정해지고 상층은 안정한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이다

    - 지표부근은 일시적으로 고농도가 발생할 수 있으나 30분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 하늘이 맑고 바람이 약한 날 아침에 약 30분 정도 발생한다 

    - 대기오염을 가장 크게 일으키는 연기의 모양

     

    구속형, trapping

     

    - 고기압지역에서 상층은 침강역전, 하층은 복사역전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 연기의 상하부분 모두 역전인 경우에 발생하는 굴뚝연기의 분산형태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