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 최대혼합고(MMD), 세류현상, 역류현상, 가시거리환경직공무원/대기 2021. 10. 28. 11:12728x90반응형
Q. 최대혼합고(MMD:Maximum Mixing Depth)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MMD는 하루 중 최대 지상온도를 기준으로 한 환경감률선과 건조단열선과 만나는 점으로부터 지표까지의 고도를 말한다.
② 일출 후 지표가 가열되면서 부근의 공기온도를 증가시켜 지표부근에 강한 대류층을 형성한다.
③ 대류 혼합층은 시간과 함께 증대하여 지상고도 최대 1.5km 이상까지 발달되는데 이때 하루 중 최대혼합고를 나타내게 된다.
④ 계절적으로 이른 여름이 최소, 겨울이 최대치를 나타낸다.
답: 4번
Q. 최대혼합고(MMD)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대류가 유발되는 혼합층의 깊이이다.
② 건조단열감률선과 기온선의 교차점에 해당
③ 밤이 가장 낮고 오후 3시경에 최고로 높아짐
④ 여름철보다는 겨울철의 MMD가 더욱 높다.
⑤ MMD가 낮을수록 확산효과가 낮고 환경용량도 작으며 대기오염도는 심해진다.
답: 4번
Q. 굴뚝 매연의 Down Wash현상에 의한 국지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인 것은?
① 굴뚝부근에 높은 건축물을 설치한다.
② 굴뚝을 될 수 있는 대로 높인다.
③ 매연의 토출속도를 높인다.
④ 배출되는 매연의 온도를 낮춘다.
답: 3번
Q. 세류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① 굴뚝의 높이가 건물보다 낮은 경우, 건물 뒷면에 공동현상이 생기고 이 공동에 의해 대기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② 굴뚝의 높이가 건물보다 높은 경우, 건물 뒷면에 공동현상이 생기고 이 공동에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③ 건물 또는 지형의 높이보다 굴뚝 높이를 2.5배 이상 높게하여 현상을 방지한다.
④ 굴뚝 아래로 오염물질이 휘날리어 굴뚝 밑 부분에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답: 4번
Q. Down wash와 Down draught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연기배출속도/풍속) < 1일 때는 down wash 현상이 생긴다.
② 배기 온도를 높이는 것은 down wash제어 방법이 아니다.
③ 건물 위에 형성된 와류에 연기가 말려 들어가서 지상 오염을 증가시키는 것이 down draught이다.
④ 오염원 주변의 최고 건물고의 2.5배 이상으로 연돌고를 올리는 것은 down draught 에 대한 대책이다
답: 2번
Q. 분진의 농도가 0.04 mg/㎤인 지방에서 상대습도가 70%일 때 가시거리는? (단, A=1.2)
풀이: L = 1000 A / G = 1000 X 1.2 / 0.04 = 30Km
답: 30km
Q. 파장이 5240Å인 빛이 밀도가 1.5g/㎤, 직경이 0.4㎛,인 기름방울이 0.2mg/㎥ 농도로 부유한 공간을 통과한다면, 이 기름방울의 분산면적비가 5일때 가시거리를 계산하시오
풀이: L = 5.2 X ρ x r / KC
= 5.2 X 1.5 X 0.2 / 5 X( 0.2 X 10^-3) = 1560m
답: 1560m
● 최대혼합고(MMD:Maximum Mixing Depth)
- MMD는 하루 중 최대 지상온도를 기준으로 한 환경감률선과 건조단열선과 만나는 점으로부터 지표까지의 고도를 말한다.
- 일출 후 지표가 가열되면서 부근의 공기온도를 증가시켜 지표부근에 강한 대류층을 형성한다.
- 대류 혼합층은 시간과 함께 증대하여 지상고도 최대 1.5km 이상까지 발달되는데 이때 하루 중 최대혼합고를 나타내게 된다.
- 계절적으로 이른 여름이 최대, 겨울이 최소치를 나타낸다.
- 대류가 유발되는 혼합층의 깊이이다.
- 건조단열감률선과 기온선의 교차점에 해당
- 밤이 가장 낮고 오후 3시경에 최고로 높아짐
- MMD가 낮을수록 확산효과가 낮고 환경용량도 작으며 대기오염도는 심해진다.
● 가시거리
① 상대습도 70%일 때 가시거리: L(km) = 1000A/G, 가시거리 = 1000 상수/먼지농도
② 분산면적비와 파장 5240Å일 경우 가시거리
③ 불투명도 측정계수
- 빛 전달율을 측정했을 때 광학적 밀도가 0.01이 되도록 하는 여과지 상의 빛을 분산시키는 고형물질의 양
- 깨끗한 여과지에 분진을 모은 다음 빛 전달율의 감소를 측정하여 결정한다
- COH 계수
④ Lambert-beer 식
● 고도에 따른 풍속, 농도 관계
① 세류현상 (down wash, creep 현상)
- 바람이 불 때 배출구 부근에서 풍하측을 향해 연기가 아래쪽으로 끌려 내려가는 현상
- 원인은 굴뚝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의 토출속도(Vs)가 굴뚝 높이에서의 풍속(U)보다 낮을 경우(Vs/U<1)이며 굴뚝 밑부분에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이지는 현상
-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토출속도를 풍속의 2배 이상 유지하는 것이 좋다
② 역류현상 (Down draught, down draft)
- 굴뚝 주변이나 지형물의 배후에서 발생되는 소용돌이에 연기가 말려들어가는 현상
- 바람이 불 때 굴뚝의 높이가 건물높이보다 낮을 경우 건물 뒤편에 압력차가 생겨 공동현상이 생기고 이 공동에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아지는 현상이다
-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굴뚝높이를 주변 건물높이의 2.5배이상 높이면 해결 가능하다 - MMD는 하루 중 최대 지상온도를 기준으로 한 환경감률선과 건조단열선과 만나는 점으로부터 지표까지의 고도를 말한다.
- 일출 후 지표가 가열되면서 부근의 공기온도를 증가시켜 지표부근에 강한 대류층을 형성한다.
- 대류 혼합층은 시간과 함께 증대하여 지상고도 최대 1.5km 이상까지 발달되는데 이때 하루 중 최대혼합고를 나타내게 된다.
- 계절적으로 이른 여름이 최대, 겨울이 최소치를 나타낸다.
- 대류가 유발되는 혼합층의 깊이이다.
- 건조단열감률선과 기온선의 교차점에 해당
- 밤이 가장 낮고 오후 3시경에 최고로 높아짐
- MMD가 낮을수록 확산효과가 낮고 환경용량도 작으며 대기오염도는 심해진다.
728x90반응형'환경직공무원 > 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 폐기물] 저위발열량, 고위발열량 계산 (0) 2021.10.28 [대기] 고체연료, 액체연료, 기체연료 (0) 2021.10.28 [대기] 유효굴뚝높이, sutton식, Deacon식 (0) 2021.10.28 [대기] 굴뚝 연기 (0) 2021.10.28 [대기] 대기확산 모델: 상자모델, 가우시안모델, 분산모델, 수용모델 (0) 2021.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