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18 PEET 생물 11~20번 기출풀이
    전공/일반생물학 2021. 10. 22. 20:10
    728x90
    반응형

    2018 PEET 생물 11번

    답: 7번

    ㄱ. 포도당 만 있을때는 에너지가 충분하기 때문에 오페론을 작동할 필요가 없어서 cAMP가 적고 젖당 만 있을땐 에너지가 작기 때문에 cAMP가 많아 오페론 작동

    ㄴ. laxZ유전자는 젖당이 있을때 젖당분해효소인 β-갈락토시데이스를 생성하는 유전자이므로 젖당이 있을때 lacZ mRNA의 양이 많다.

    ㄷ. 젖당이 있을경우에는 에너지가 작기에 오페론을 작동시키는데 이때 CAP가 cAMP와 결합하면서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 복합체가 프로모터에 붙으면서 RNA 중합효소도 프로모터에 붙어 구조유전자의 전사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cAMP-CAP 복합체는 젖당오페론의 양성조절인자로 작동한다.

    답: 3번

    캠벨 생명과학9판 273p, 그림 14.11

    - 응집반응: 응집원A + 응집소β / 응집원B + 응집소α

    ㄱ. 아버지는 A형이므로 응집원 A, 응집소 β를 가진다.

    - 아버지 혈청은 어머니 적혈구와 응집반응이 이루어졌지만 어머니 혈청에서는 아버지 적혈구와 응집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어머니 혈청에는 응집소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어머니는 AB형이다

    - 아들 혈청은 아버지 적혈구와 응집반응이 일어났으므로 응집원 B를 가짐을 알 수 있다.

    -> 아들은 B형이다

    - 딸 혈청은 어머니와 아들의 적혈구와 응집반응이 일어났고 아버지 적혈구와는 응집반응이 일어나지 않았으므로 응집소A를 가졌음을 알 수 있다.

    -> 딸은 A형이다.

    ㄴ. 히루딘: 혈액응고를 억제하는 물질

    혈청으로 인한 응집반응은 히루딘이 작용해도 일어난다.

    ㄷ. anti-A 혈청은 응집소 A와 응집반응을 일으킨다.

    답: 7번

    ㄱ. w-y 유전자거리: (15+13+1+1)÷2000 = 0.015

    - m-w 유전자거리: (655+621+15+13)÷2000 = 0.652

    - m-y 유전자거리: (655+621+1+1)÷2000 = 0.639

    ㄴ. 유전자거리로 순서를 파악

    즉, 유전자 순서는 m-y-w 이다

    ㄷ. 수컷자손 F1의 X 유전자는 모계 쪽에서 받고 Y 유전자는 부계 쪽에서 받기 때문에 X염색체에 존재하는 m,w,y유전자는 수컷유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지 못 한다.

    답: 4번

    캠벨 생명과학9판, 941p, 그림43.16

    - T세포는 항원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외래항원이 존재해야하고 그 항원은 항원제시세포에 전시되어야 한다. 이 항원제시세포에는 수지상세포, 대식세포, B세포가 있다.

    - 감염이 되면 숙주세포에 항원을 표면에 전시하게 된다. 그리고 Th세포 표면에 있는 항원수용체는 항원제시세포 표면 Ⅱ형 MHC분자와 결합한다. 그리고 수지상세포는 Th세포에 항원을 제시하면서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게 되고 그 Th세포는 증식하여 클론을 형성한다. (클론증폭)

    캠벨 생명과학 9판, 942p, 그림43.18

    - B세포는 이미 활성화된 Th세포 클론에 항원을 제시하고 B세포로부터 항원신호를 받은 바로 그 Th세포는 B세포와 결합항 T세포에서 분비된 사이토카인과 상호작용하여 B세포는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B세포는 증식, 분화하여 기억B세포와 형질세포로 분비된다. (클론증폭)

    ㄱ. MHC2와 CD4가 만나 반응하고 이는 대식세포에서도 발현된다

    ㄴ. 클론증폭은 T세포와 B세포에서 모두 일어나는 반응

    ㄷ. B세포는 다섯종류의 면역글로불린을 생산하는데 1차면역반응에서 최초로 분비되는 항체는 IgM항체이고 이 항체는 오량체이다

    그리고 IgG가 그 다음에 만들어지는데 혈액에 가장 많이 존재한다.

    답: 6번

    ㄱ. ㉠에서XIST RNA가 불활성화되고 ㉡에서 XIST RNAXISR RNA가 활성화되어서 ⓐ가 나타나게 된 것이다.

    ㄴ. 감수분열이 끝난 배란된 난자에서는 X염색체 하나만 가지고 있으므로 XIST RNA에 의한 불활성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ㄷ. 클라인펠터증후군의 염색체는 XXY이다

    그러므로 X염색체 하나는 불활성화 되어야한다. 그러므로 불활성화된 바소체가 관찰됨.

    답: 6번

    ㄱ. 발현량이 적은 유전자군에서 류신코돈의 이용빈도는 4종의 코돈이 상대적으로 골고루 이용되고 있지만 발현량이 많은 유전자군에서의 류신 코돈의 이용빈도는 특정 코돈만이 많이 이용됬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발현뱡이 많은 유전자군에서 자연선택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 자연선택: 어떤 유전되는 형질을 가진 개체들이 그렇지 않은 개체들보다 더 많은 후손을 남기는 과정, 특정 유전자의 빈도증가

    ㄴ. 대장균과 효모에서 이용되는 류신코돈의 종류이용빈도가 다르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진화하였다고 말 할 수 있다.

    ㄷ. 첫 번째 자리에서보다 세 번째 자리에서 발생하는 돌연변이가 아미노산의 변형을 잘 시킨다. 즉, 코돈의 첫번째 자리에서 발생하는 돌연변이는 아미노산의 변형을 일으킬 확률이 낮다.

    답: 4번

    캠벨 생명과학 9판 , 201p, 그림10.20

    - A는 엽육세포, B는 유관속초세포

    - 엽육세포에만 존재하는 PEP카르복실화효소에 의해 CO2를 고정시키고 원형질연락사를 통해 말산과 같은 4탄소 화합물을 유관속초세포로 보낸다. 유관속초세포에서 4탄소화합물은 CO2를 내놓고 이 CO2는 루비스코와 캘빈회로를 통해 유기물질로 다시 동화된다. 엽육세포에서 ATP는 피르부산을 PEP로 전환시키는데 사용되고 반응회로가 계속 일어나도록 한다.

    - C3식물에서는 루비스코가 CO2 대신에 O2와 결합하면 광합성 효율을 감소시키는데 C4식물은 ATP를 소모하여 유관속초세포에 CO2를 농축시킴으로 문제를 극복한다,

    ㄱ. C4식물은 유관속초세포에서 루비스코가 탄소를 고정한다

    ㄴ. 수렴진화: 서로 다른 계열에서 유사한 특징들이 독립적으로 진화하는 것을 말한다

    ㄷ. C4가 더 ATP양이 많다.

    답: 1번

    ㄱ. 설명

    - (Ⅰ) = ( 나) / (Ⅱ) = (가)

    -> 회색신월환에는 세포질 결정인자가 존재한다

    캠벨 생명과학 9판, 1038p 그림 47.22

    ㄴ. 설명

    .- (Ⅲ) = ( 다) / (Ⅳ) = (라)

    -> 슈페만의 양서류 실험: 낭배초기의 세포는 운명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낭배후기의 세포는 이미 결정된 상태이다.

    -> (Ⅲ) 의 낭배는 초기낭배를 나타내고 초기낭배에서 예정 신경조직을 다른 초기낭배의 표피부위에 이식을 해도 운명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식된 신경조직은 표피조직을 발생된다.

    -> (Ⅳ)의 낭배는 후기낭배를 나타내고 낭배후기는 이미 운명이 결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후기낭배의 신경조직을 다른 후기낭배 표피에 이식을 해도 신경조직으로 발생한다,

    ㄷ. ㉠은 할강 또는 포배강이다.

     

    캠벨 생명과학 9판, 1029p 그림 47.10 / 1039p 그림 47.23

    답: 1번

    ㄱ. 체관을 통해 흐르는 체관액의 이동방향은 다양하지만 언제나 당의 공급원에서 당의 수용원으로 당을 옮긴다. 당의 공급원은 광합성 또는 녹말 분해작용으로 당의 순생산이 일어나는 식물의 기관(성장을 마친 잎)이고 당 수용원은 당이 소모되거나 저장되는 기관(성장하고 있는 뿌리, 눈, 줄기, 열매) 이다. 즉 당 공급원에 가까울수록 14C의 농도는 높을 것이다.

    ㄴ. 광합성 산물의 수송이 충분히 일어나는 시점에서 수액을 채취했다면 당은 어느 곳이든 검출 될 수 있다.

    ㄷ. 수액의 주요 당 성분은 설탕이다. 이당류 설탕.

    캠벨 생명과학 9판, 765p, 그림 36.2

    답: 3번

    - O2분압: 조직세포에서 40mmHg , 폐포에서 100mmHg

    - ㉠은 저지대에서 휴식 중 : 산소분압이 빠르게 회복.

    - ㉡은 저지대에서 유산소 운동을 할 때 : 산소분압이 천천히 회복

    - ㉢은 고지대에서 휴식 중 : 저지대에서보다 산소분압이 적어져야 함.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의 산소량이 감소함으로 혈액의 산소분압도 감소하기 때문.

    ㄱ. 저지대에서 유산소 운동을 할때 p1 에서 p2로 산소분압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평형상태가 아니다.

    ㄴ. 단위시간당 산소의 순 이동량은 유산소 운동일때가 많다. 산소분압 기울기가 더 큼.

    ㄷ. p2에서 폐모세혈관의 혈류속도는 ㉠과 ㉢은 평형상태에 도달되어 있고 ㉡은 운동중이고 조직의 산소소모가 증가함으로 산소분압이 작기 때문에 더 많은 산소가 조직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므로 혈류속도도 증가한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