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기화학] 20. 카복실산유도체(2) - 산 할로젠화물의 제법, 반응전공/유기화학 2019. 12. 18. 01:02728x90반응형
1. 산 할로젠화물의 제법
1) SOCl2 와 반응한다.
2) PBr3와 반응한다.
2. 산 할로젠화물의 반응
- 카복실산 유도체 중 반응성이 가장 크다.
1) 가수분해 반응 - 산으로 전환하는 반응
2) 산 무수물로 전환 하는 반응
3) 가알코올 분해 반응 - 에스터로의 전환 반응
- 반응성 순서: 1차 ROH > 2차 ROH > 3차 ROH
4) 가아민 분해 반응 - 아마이드로의 전환 반응
- 3차 아민은 반응하지 않는다.
- 부산물 염산을 생성시키지 않기 위해 아민을 2당량 사용한다.
5) Grignard 반응 - 알코올로 전환 하는 반응
- 산 염화물과 반응하여 3차 알코올을 생성한다.
6) 이유기구리 반응 - 케톤으로의 전환 반응
- 산 염화물과 이유기구리 음이온이 친핵성 아실 치환 반응을 일으켜 아실 이유기구리 중간체를 만들고 R'Cu를 잃고 케톤을 형성한다.
- 영하 78도 에터 용매 속에서 반응이 일어나고 수득률이 좋다.
- 이유기구리 시약은 오직 산 염화물과 반응한다.
728x90반응형'전공 > 유기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화학] 20. 카복실산유도체(3) - 산 무수물과 에스터, 아마이드의 제법, 반응 (0) 2019.12.18 [유기화학] 20. 카복실산 유도체 (1) - 친핵성 아실 치환 반응 (0) 2019.12.18 [유기화학] 19. 카복실산(Carboxylic acid), 나이트릴(nitriles) - 명명법, 제법, 반응 (0) 2019.12.17 [유기화학] 18. 알데하이드(aldehyde) , 케톤 (ketone) - 제법, 친핵성 첨가 반응, 콘쥬게이션 친핵성 첨가반응 (0) 2019.12.16 [유기화학] 17. 싸이올 (thiol, -SH), 설파이드 (sulfide) - 합성, 산화반응 (0) 2019.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