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17 상반기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1번~20번 기출문제 풀이
    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21. 00:20
    728x90
    반응형

    11. 다음에서 설명하는 소화원리로 옳은 것은?

    공기 중 산소량을 감소시켜 산소공급을 차단하거나 산소의 농도를 15%이하로 낮추어 소화를 시키는 원리를 말한다.

     

    ① 질식소화 ② 부촉매소화 ③ 제거소화 ④ 유화소화

     

    답: 1번 

    풀이 https://poo318.tistory.com/420


    12. 다음 중 자연발화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흡착열 ② 융해열 ③ 분해열 ④ 중합열

     

    답: 2번 

    풀이 

    연발화의 종류 

     - 분해열, 산화열, 흡착열, 중합열, 발효열 

     

    ① 분해열

    - 물질이 분해할 때 발생되는 열

    - 아세틸렌, 산화에틸렌, 제5류위험물 등 

     

    ② 산화열

    - 물질이 산화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

    - 기름걸레, 황린, 석탄, 건성유 등

     

    ③ 흡착열

    - 물질이 흡착할 때 발생되는 열

    - 활성탄, 목탄(숯), 유연탄 등 

     

    ④ 중합열

    - 물질이 중합반응하는 고정에서 발생되는 열

    - 산화에틸렌, 시안화수소 등 

     

    ⑤ 발효열

    - 미생물에 의해 물질이 발효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

    - 먼지, 거름, 곡물 등 


    13. 다음 중 위험도가 가장 큰 것은?

    ① 일산화탄소 (12.5 ~ 75)

    ② 수소 (4 ~ 75)

    ③ 아세틸렌 (2.5 ~ 81)

    ④ 이황화탄소 (1.2 ~ 44)

     

    답: 4번 

    풀이 


    14. 다음 중 전기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누전 ② 지락 ③ 과전류 ④ 역기전력

     

    답: 4번 

    풀이 :

    전기화재 발생원인

    - 전기기기 ․ 기구의 불량 또는 과열, 배선 불량, 이동식 절연기(전기장판, 전기난로, 다리미 등) 및 고정식 절연기(건조기, 전기로)의 취급 및 사용 시 부주의로 발생하는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 이 중 원인을 알 수 없는 미확인을 제외한 전기기기 ․ 기구의 절연열화 등에 의한 단락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과부하, 과전류, 누전, 지락의 순으로 발생하였고 이 외에 접속부 과열, 열적경과, 불꽃방전 등이 있다

     

     단락(합선)에 의한 발화 발생원인 중 가장 높을 비율을 차지

     과전류 ․ 과부하에 의한 발화 

     누전에 의한 발화 

     지락에 의한 발화 

    ⑤ 도체 접속부 과열에 의한 발화

    ⑥ 불꽃방전에 의한 발화

     

    ※ 기전력에 의한 발화도 가능, BUT 역기전력은 전기화재를 일으키지 않음 ☆


    15. 다음 중 화재의 종류로 옳게 설명한 것은?

    ① 일반화재 - B급

    ② 유류화재 - D급

    ③ 전기화재 - C급

    ④ 금속화재 - E급

     

    답: 3번 


    16. 위험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제1류 위험물 - 불연성 물질로서 가열, 충격에 의해 산소를 방출하는 강산화성 고체이다.

    ② 제2류 위험물 - 마그네슘, 유황, 적린은 주수에 의한 냉각소화가 가능하다.

    ③ 제3류 위험물 - 자연발화의 위험성이 있는 것을 말한다.

    ④ 제5류 위험물 - 자기 자신이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자기반응성 물질이다.

     

    답: 2번

    풀이 https://poo318.tistory.com/427

    마그네슘은 질식소화로 소화해야한다 


    17. 다음이 설명하는 소화약제로 옳은 것은?

    A급, B급, 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으며, 담홍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주성분은 제1인산암모늄 이다.

    ① 제1종 분말소화약제

    ② 제2종 분말소화약제

    ③ 제3종 분말소화약제

    ④ 제4종 분말소화약제

     

    답: 3번 

    풀이 https://poo318.tistory.com/425

     


    18. 바닥면적이 10m2 인 창고에 5kg의 고무가 저장되어 있다. 이때 화재하중은 얼마인가? (단, 목재단위발열량은 4,500kcal/kg, 고무의 단위발열량은 9,000kcal/kg 이다)

    ① 1kg/m2 ② 2kg/m2 ③ 3kg/m2 ④ 4kg/m2

     

    답: 1번 

    풀이 

    = 9000kcal/kg x 5kg / 4500 x 10 = 1kg/m2


    19. 다음에서 설명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로 맞는 것은?

    화재 발생 시 감지기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여 유수검지장치 1차측의 물이 배관을 따라 이동한 후 2차측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가 열에 따라 개방되는 방식이다.

     

    ①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②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③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④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답: 3번 

    풀이 

    - 준비작동식: 가압송수장치에서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 1차 측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고 2차 측에서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대기압 또는 저압으로 있다가 화재발생시 감지기의 작동으로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여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소화용수가 송수되어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가 열에 따라 개방되는 방식의 스프링클러설비

    - 습식: 가압송수장치에서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다가 화재로 인한 열로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면 배관 내에 유수가 발생하여 습식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게 되는 스프링클러설비

    - 건식: 건식유수검지장치 2차 측에 압축공기 또는 질소 등의 기체로 충전된 배관에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가 부착된 스프링클러설비

    - 일제살수식: 가압송수장치에서 일제개방밸브 1차 측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고 2차 측에서 개방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대기압으로 있다가 화재발생시 자동감지장치 또는 수동식 기동장치의 작동으로 일제개방밸브가 개방되면 스프링클러헤드까지 소화용수가 송수되는 방식의 스프링클러설비


    20. 다음 중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수신기 ② 감지기 ③ 발신기 ④ 송신기

     

    답: 4번 

    풀이 https://poo318.tistory.com/437

    자동화재탐지설비 구성요소 :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중계기, 음향장치 등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