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소방학개론] 8. 시설론 - 소화시설(물분무등소화설비)
    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8. 23:02
    728x90
    반응형

    1. 물분무등소화설비

    - 종류 : 물분무 소화설비, 미분무 소화설비, 포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강화액소화설비, 고체에어로졸소화설비

    1) 물분무 소화설비 

    (1) 수원 등 

    (2) 배수설비 

    -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10㎝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구를 설치할 것

    - 배수구에는 새어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 40m 이하마다 집수관ㆍ소화핏트 등 기름분리장치를 설치할 것 

    -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하여 100분의 2 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할 것 

    -. 배수설비는 가압송수장치의 최대송수능력의 수량을 유효하게 배수할 수 있는 크기 및 기울기로 할 것

     

    2) 미분무소화설비

    - 가압된 물이 헤드 통과 후 미세한 입자로 분무됨으로써 소화성능을 가지는 설비

    - 미분무: 물만을 사용하여 소화하는 방식으로 최소설계압력에서 헤드로부터 방출되는 물입자 중 99 %의 누적체적분포가 400 ㎛ 이하로 분무되고 A,B,C급 화재에 적응성을 갖는 것

     

    (1) 헤드의 종류 

    - 개방형 미분무헤드: 감열체 없이 방수구가 항상 열려져 있는 헤드

    - 폐쇄형 미분무헤드: 정상상태에서 방수구를 막고 있는 감열체가 일정온도에서 자동적으로 파괴ㆍ용융 또는 이탈됨으로써 방수구가 개방되는 헤드

     

    (2) 미분무 소화설비 종류 

    - 저압 미분무 소화설비: 최고사용압력이 1.2 ㎫ 이하

    - 중압 미분무 소화설비: 사용압력이 1.2 ㎫을 초과하고 3.5 ㎫ 이하

    - 고압 미분무 소화설비:  최저사용압력이 3.5 ㎫을 초과

    - 폐쇄형 미분무 소화설비: 배관 내에 항상 물 또는 공기 등이 가압되어 있다가 화재로 인한 열로 폐쇄형 미분무헤드가 개방되면서 소화수를 방출하는 방식의 미분무소화설비

    - 개방형 미분무소화설비: 화재감지기의 신호를 받아 가압송수장치를 동작시켜 미분무수를 방출하는 방식의 미분무소화설비

     

    (3) 배관 

    -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ㆍ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으로 하여야 하고, 용접할 경우 용접찌꺼기 등이 남아 있지 아니하여야 하며, 부식의 우려가 없는 용접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3) 포 소화설비

    (1) 포 소화약제 혼합방식

     펌프 프로포셔너방식

    - 펌프의 토출관과 흡입관 사이의 배관도중에 설치한 흡입기에 펌프에서 토출된 물의 일부를 보내고, 농도 조정밸브에서 조정된 포 소화약제의 필요량을 포 소화약제 탱크에서 펌프 흡입측으로 보내어 이를 혼합하는 방식

     프레져 프로포셔너방식

    -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추리관의 벤추리작용과 펌프 가압수의 포 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대한 압력에 따라 포 소화약제를 흡입ㆍ혼합하는 방식

    ③ 라인 프로포셔너방식

    -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추리관의 벤추리작용에 따라 포 소화약제를 흡입ㆍ혼합하는 방식

     프레져사이드 프로포셔너방식

    -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 소화약제 압입용펌프로 포 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

     압축공기포 믹싱챔버방식

     

    ▶ 가스계 소화약제 방출방식   

    - 이산화탄소, 할론, 분말 소화설비 

    - 전역방출방식: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고정 설치하여 밀폐 방호구역 내에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설비

    - 극소방출방식: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설치하여 직접 화점에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설비로 화재발생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하도록 설치하는 방식

    - 호스릴방출방식 : 분사헤드가 배관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호스를 연결하여 사람이 직접 화점에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이동식 소화설비

     

    ※ 집중방출방식 X 

    3)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1) 소화약제 방출방식 

    ① 전역방출방식

    ② 국소방출방식

    ③ 호스릴방출방식 

     

    (2) 소화설비 작동순서

    - 화재발생

    - 화재감지기(교차회로방식) 또는 수동기동장치에 의해 작동  

    - 수신제어반 연결

    - 기동용기 솔레노이드밸브(전자밸브) 작동

    - 기동용기동작

    - 선택밸브 및 저장용기 개방

    - 압력스위치 작동하여 방출표시등 점등

    - 소화약제 방사

     

    (3) 저장용기 

    - 충전비: 고압식( 1.5 이상 1.9 이하), 저압식( 1.1 이상 1.4 이하)

    - 저압식 저장용기 - 액면계 및 압력계와 2.3 ㎫ 이상 1.9 ㎫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압력경보장치를 설치할 것 

    - 저압식 저장용기 - 용기내부의 온도가 섭씨 영하 18℃ 이하에서 2.1 ㎫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냉동장치를 설치할 것

    -  고압식은 25 ㎫ 이상, 저압식은 3.5 ㎫ 이상의 내압시험압력에 합격한 것으로 할 것 

    - 설치장소

    1. 방호구역외의 장소에 설치할 것. 다만, 방호구역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피난 및 조작이 용이하도록 피난구부근에 설치하여야 한다.

    2. 온도가 40℃ 이하이고, 온도변화가 적은 곳에 설치할 것 

    3. 직사광선 및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4.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할 것 

    5. 용기의 설치장소에는 해당 용기가 설치된 곳임을 표시하는 표지를 할 것 

    6. 용기간의 간격은 점검에 지장이 없도록 3㎝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7. 저장용기와 집합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다만, 저장용기가 하나의 방호구역만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할론 소화설비

    (1) 소화약제 방출방식 

    ① 전역방출방식

    - 고정식 할론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고정 설치하여 밀폐 방호구역 내에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설비

     

    ② 국소방출방식

    - 고정식 할론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설치하여 직접 화점에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설비로 화재발생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하도록 설치하는 방식

     

    ③ 호스릴방출방식 

    - 분사헤드가 배관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호스를 연결하여 사람이 직접 화점에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이동식 소화설비

     

    (2) 소화약제 저장용기

    1. 방호구역외의 장소에 설치할 것. 다만, 방호구역 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피난 및 조작이 용이하도록 피난구 부근에 설치하여야 한다.

    2. 온도가 40℃ 이하이고, 온도변화가 적은 곳에 설치할 것 

    3. 직사광선 및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4.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할 것 

    5. 용기의 설치장소에는 해당 용기가 설치된 곳임을 표시하는 표지를 할 것

    6. 용기간의 간격은 점검에 지장이 없도록 3㎝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7. 저장용기와 집합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다만, 저장용기가 하나의 방호구역만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할론소화약제의 저장용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1. 축압식 저장용기의 압력은 온도 20℃에서 할론 1211을 저장하는 것은 1.1 ㎫ 또는 2.5 ㎫, 할론 1301을 저장하는 것은 2.5 ㎫ 또는 4.2 ㎫이 되도록 질소가스로 축압할 것 <개정 2012. 8. 20.>

    2. 저장용기의 충전비는 할론 2402를 저장하는 것중 가압식 저장용기는 0.51 이상 0.67 미만, 축압식 저장용기는 0.67 이상 2.75 이하, 할론 1211은 0.7 이상 1.4 이하, 할론 1301은 0.9 이상 1.6 이하로 할 것 <개정 2012. 8. 20.>

    3. 동일 집합관에 접속되는 용기의 소화약제 충전량은 동일충전비의 것이어야 할 것 

    ③ 가압용 가스용기는 질소가스가 충전된 것으로 하고, 그 압력은 21 ℃에서 2.5 ㎫ 또는 4.2 ㎫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④ 할론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개방밸브는 전기식·가스압력식 또는 기계식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고 수동으로도 개방되는 것으로서 안전장치가 부착된 것으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18. 11. 19.>

    ⑤ 가압식 저장용기에는 2.0 ㎫ 이하의 압력으로 조정할 수 있는 압력조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⑥ 하나의 구역을 담당하는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소화약제량의 체적합계보다 그 소화약제 방출시 방출경로가 되는 배관(집합관 포함)의 내용적이 1.5배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방호구역에 대한 설비는 별도 독립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5)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6)  분말소화설비

    7) 강화액 소화설비

    8) 고체에어로졸 소화설비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