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이산화탄소)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7. 14:51728x90반응형
소방방재신문 1.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1)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특징
- 더 이상 산소와 반응하지 않는 불연성 물질 ☆
- 질소, 아르곤, 할론 등의 불활성 기체와 함께 가스계 소화약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 무색, 무취의 부식성이 없는 기체, 공기보다 1.5배 정도 무거운 기체
- 상온에서는 기체이지만 압력을 가하면 액화되기 때문에 고압가스 용기 속에서 액화시켜 보관
- 기체 팽창률 534L/kg(15℃), 증발잠열 56.1kcal/kg.
- 자체 증기압(57.8kg/cm2,21℃) 높아 심부까지 침투용이
- 액화가 용이한 불연성 가스(임계점 31.35℃, 72.9atm)
- 전기부도체(비전도성)로 전기화재(C급)에 적응성이 있다. ☆
- 전기절연성은 공기의 1.2배이다.
2) 적응 화재
- 유류화재 (B급), 전기화재 (C급) ☆
- 밀폐된 상태에서 방출된 경우 일반화재(A급)에 사용가능 ☆
3) 장점 ☆☆
- 증발잠열이 커서 증발 시 많은 열량 흡수
- 기화 팽창율이 큼(15℃방출 시 534L/kg로 팽창)- 피연소물에 피해가 적고 증거보존이 용이하여 화재원인조사가 쉽다 ☆☆☆
- 압력이 커서 자체압력으로 방사 가능하고 외부의 방출용 동력이 필요없다☆
- 표면화재, 심부화재(공기비중이 1.5배로 심부까지 침투용이), 전기화재에 적용 가능 ☆☆- 장기보존 용이 ☆
- 추운 지방에서 사용 가능 ☆
- 진화 후 소화약제에 의한 오손이 없음 ☆4) 단점
- 질식의 위험성이 있음
- 방사시 소음이 크다 ☆
- 기화 시 급랭하여 동상의 우려가 있음
- 흰색운무에 의한 가시도 저하
- 온실가스로서 지구온난화 유발물질2.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소화원리
1) 소화원리의 종류
① 질식효과( 주 소화효과 ) ☆☆☆
- 산소농도 15%이하로 저하 소화
② 냉각효과
- 줄-톰슨 효과, 주위 기화열을 흡수하여 소화
- 유류탱크 화재처럼 불타는 물질에 직접 방출하는 경우에 가장 효과적인 소화작용
③ 피복효과
- 21℃에서 공기비중이 1이라면 이산화탄소는 약 1.5배 비중으로 화염표면 덮어 공기 공급차단
2) CO2 이론 최소소화농도 ☆☆☆
3) CO2 최소 설계농도
- 최소설계농도 = 최소소화농도 X 1.2
3.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적응성 및 비적응성
1) 적응성
- B, C급뿐만 아니라 밀폐 시 A급도 가능
- 통신기기실, 전산기기실, 변전실 등 전기설비
- 도서관, 미술관, 선박, 무인기계 주차탑
- 제4류 위험물, 특수 가연물
- 표면화재, 심부화재, 전기화재에 적용 가능
- 진화 후 소화약제에 의한 오손이 없음2) 비적응성 (설치제외 장소) ☆☆☆
- 제5류 위험물을 저장 취급하는 장소
- 금속물질(Na,K등) 저장 취급하는 장소- 방재실, 제어실 등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장소 ☆
-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이드 제품 등 자기연소성(자기반응성) 물질을 저장, 취급하는 장소 ☆
- 나트륨, 칼륨, 칼슘 등 활성금속물질을 저장, 취급하는 장소
- 밀폐된 공간이나 전시장 등의 관람을 위하여 다수인이 출입, 통행하는 통로 및 전시실 등 ☆☆☆
- 자체적으로 산소를 함유하는 물질의 장소 ☆
4.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전역방출방식으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작동시킬 경우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약 1분후에 를 초과하여 치사량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방출 전에 음향경보 등에 의한 피난경보를 20% 발하여 인원을 피난시키고 방출과 동시에 방출표시등을 점등하여 출입을 금지시켜야 하며, 소화 후에는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방출시켜야 한다.
- TLV : 평균적인 성인 남자가 매일 8시간씩 주 5일을 연속해서 이 농도의 가스를 함유하고 있는 공기 중에서 작업을 해도 건강에는 영향이 없다고 생각되는 한계농도
5.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방법
-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용기는 방호구역외의 장소에 설치할 것. 다만 방호구역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피난 및 조작이 용이하도록 피난구 부근에 설치하여야 한다.
- 온도가 40℃이하이고 온도변화가 적은 곳에 설치할 것
- 직사광선 및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할 것
- 용기의 설치장소에는 해당 용기가 설치된 곳임을 표시하는 표지를 할 것
- 용기간의 간격은 점검에 지장이 없도록 3cm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 저장용기와 집합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다만 저장용기가 하나의 방호구역만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저장용기의 충전비는 고압식은 1.5이상 1.9이하 , 저압식은 1.1이상 1.4 이하로할것
출처 소화이론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분말)
1. 분말 소화약제 - 부촉매, 질식, 냉각작용 등에 의해 유류화재, 전기화재를 소화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여기에 방진작용을 추가하여 일반화재, B급, C급 화재에 모두 사용가능하다 (제3종분말)
poo318.tistory.com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할론)
1. 할론(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 지방족 탄화수소인 메탄(CH4), 에탄 (C2H6)등의 수소 일부 또는 전부가 주기율표 VII족 원소 (F, Cl, Br, I 등 ) 으로 치환된 화합물을 말하며, Halon15)이라고 부르고 있
poo318.tistory.com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포)
1. 포 소화약제 - 물에 의한 소화방법으로 효과가 적거나 화재가 확대될 우려가 있 는 위험물 화재시 사용하는 설비 - 포의 생성원리에 따라 화학포와 기계포로 분류하며 기계포는 다시 단백포,
poo318.tistory.com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물)
1. 소화약제 1) 필요조건 ① 소화성능이 뛰어날 것(연소의 4요소 중 1가지 이상 제거) ②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할 것 ③ 환경영향성이 좋을 것(환경에 대한 오염이 적을 것) ④
poo318.tistory.com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의 원리, 소화방법
1. 소화의 원리 ① 소화란 가연성물질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수반하며 급격히 산화하는 연소, 즉 화재를 산소의 공급을 차단 ․희석시키거나 발화온도 이하로 감소시키거나 가
poo318.tistory.com
728x90반응형'소방공무원 > 소방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분말) (3) 2021.12.07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할론) (0) 2021.12.07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포) (0) 2021.12.07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종류, 소화약제(물) (0) 2021.12.07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의 원리, 소화방법 (0) 2021.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