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화재감식평가기사] 전기 관련 문제
    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기사 실기 2021. 11. 8. 00:52
    728x90
    반응형

    1. 과전류의 대표적인 원인 3가지를 쓰시오. (2020)


    ① 과부하에 의한 과전류
    ② 단락에 의한 과전류
    ③ 지락에 의한 과전류

     

    2. 화재현장에서 세곳 ( X 표시된 부분)에서 단락이 식별된 경우 다음의 조건 및 그림을 참고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2017)

    ●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음
    ● 표시 부분은 합선에 의한 단락 발생
    ● 전기적인 단락흔적으로 판정하되 연소패턴 등 주변 가연물의 상황은 무시

     

    ① 최초의 단락지점은 ? : B


    ② ①의 이유는 ?

    텔레비전에서 전기적인 단락이 일어나 발화가 되고, 컴퓨터 부하측에서 전기적 단락이 일어난 다음 전원측에서 단락이 일어남. 멀티콘센트의 전원부에 가까운 곳에 접속한 컴퓨터 부하측에서 먼저 발화하였다면 털레비전 부하측에서는 단락흔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3. 전기적 원인에 의한 화재에서 1, 2차 단용융흔 특징을 쓰시오. (2017)

    ① 1차 용융흔 

    : 화재원인이 되는 단락흔으로 형상이 구형이고 광택이 있으며, 매끄러우며 일반적으로 탄소가 검출되지 않는다.
    ② 2차 용융흔

    : 화재열로 통전 중인 전선피복 등의 손실에 의한 단락흔으로 형상이 구형이 아니거나 광택이 없고, 매끄럽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탄소가 일반적으로 검출된다.

     

    4. 다음의 그림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2017)(2018)

    ① 전원측과 부하측의 정의를 쓰시오.

    부하측 :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향
    전원측 : 전기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향


    ② 콘센트를 기준으로 최종 전원측과 최종 부하측을 쓰시오.

    최종 전원측 : 전주
    최종 부하측 : 선풍기

     

    5.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 단자봉에 식별되는 조건을 참고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2018)(2020)

     

    [조건]
    ● 플러그의 단자봉 2개 중 1개만 용융되었다.
    ● 용융형태는 용융부와 미용융부의 경계가 뚜렷하다.
    ● 플러그에 연결된 부하기기는 작동 중이었다.

     

    ① 상황으로 추정할 수 있는 화재의 원인을 쓰시오

    : 접촉부 과열 

     

    ② 화재원인의 선행 원인을 2가지 쓰시오.

    : 플러그는 꽂혀 있었고 통전상태에 있어야 한다. 부하기기가 과부하 상태에 있어야 한다 

     

    6. 화재현장에서 수집한 증거물에서 식별되는 조건을 참고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2018)

     

    [조건]
    ● 공급전원은 단상 220V이다.
    ● 화재현장에서 연소되지 않는 부분의 배선 검사결과 전선피복 외측에 비해 내측에 심한 열 변형이 식별되었다.

     

    ① 전기적인 발생원인 쓰시오.

    : 과전류 


    ② 전선 피복 외측에 비하여 내측이 심하게 열변형 된 원인을 쓰시오.

    : 전선 절연물의 최대허용전류 및 최고허용온도를 초과하면 전선도체가 발열하여 먼저 내측 전선피복에 열변형 및 탄화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