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누전차단기 , 배선용차단기
    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1. 1. 00:09
    728x90
    반응형

    1. 배선용차단기에 연결된 압착 터미널과 그 내부에 생성된 증거물의 저항치를 측정해보니 저항 2.3Ω 이었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017)


    ① 증거물의 명칭을 쓰시오. : 아산화동
    ② 감식요령을 쓰시오 

    : 아산화동 표면은 은회색의 광택을 띠고 결정이 쉽게 부서지며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붉은 색으로 반짝거리는 특징이 있는지 확인한다.


    2. 배전반에 연결되어 사용중인 전자개폐기 화재발생 요인을 쓰시오. (2017)


    ① 먼지의 부착, 과전압에 의한 이상음과 떨림현상 발생
    ② 과전압 등에 의한 절연파괴로 인한 코일소손
    ③ 보조접점에 먼지, 접점부스러기의 침입에 의한 접속불량
    ④ 스프링의 힘 부족, 접점의 융착

     

    3. 배선용 차단기와 누전차단기의 정격전류가 다음과 같을 때 메인 누전차단기가 차단된 이유를 쓰시오 (2017) 

    메인 누전차단기 용량 50A / 30mA 

    각 배선용 차단기 용량 30A / 30mA

     

    답: 메인 누전차단기의 정격전류 용량( 50A )이 분전 배선용 차단기 용량의 합 ( 60A )보다 작기 때문에 동시에 과부하가 걸릴 경우 메인 누전차단기가 먼저 작동한다.

     


    ● 누전차단기 

    1) 절연열화에 의한 발화

     

    - 절연체에 먼지 또는 습기에 의한 트래킹 등의 절연파괴

    - 사용 부주의, 취급불량으로 절연피복 손상 및 절연재료 파손

    - 이상전압에 의한 절연파괴로 인한 코일 소손

    - 절연열화로 인한 발화 형태는 트래킹과 흑연화 현상이 일어남

    - 허용전류를 넘는 과전류에 의한 열적열화

     

    2) 인체보호용 누전차단기의 성능
    ① 정격감도전류 : 30mA
    ② 동작시간 : 0.03초 이하

     

    3) 외부 및 내부 화재감식요령

     

    ① 합성수지 케이스가 화염에 탄화되어 부하측과 전원측을 구별할 수 없을 경우

    : 회로시험기 등으로 저항을 측정하여 켜짐 (저항 0Ω ) 과 꺼짐 (저항∞) 상태 확인

     

    ② 플라스틱 케이스가 용융되어 내부스위치의 동작여부를 알 수 없는 경우

     : X - Ray 또는 비파괴시험기로 촬영하여 확인

     

    ● 배선용 차단기

    - 전류 이상을 감지하여 선로가 열에 의해 타서 손상되기 전, 선로를 차단하여 주는 배선 보호용 기기

     

    1) 접속부의 과열에 의한 발화

     

    ① 접속부의 과열에 의한 발화요인 

    - 접점 표면에 먼지 등 이물질 부착으로 인해 접촉불량 요인 발생

    - 접점재료 증발, 난산, 마모에 의한 접점의 마모 

    - 줄열 또는 아크열에 의한 접점 표면의 일부 용융

    - 접점재료의 용융에 의하 타극 접점에의 전이, 소모 및 균열에 의해 거칠어진 접촉면의 요철이 기계적으로 서로 갉는 스티킹 현상 발생

    - 미세한 개폐동작을 반복하는 채터링 현상 

    - 허용량 이상의 전압과 전류를 사용

    - 가동부의 부식, 유지 등 고점성 물질의 부착 

     

    ② 접촉저항 저감조치

    - 접촉암력을 증가시키고 접촉 면적을 크게 한다

    - 접촉 재료 경도를 감소

    - 고유저항이 낮은 재료 사용

    - 접촉면 청결하게 유지

     

    2) 절연열화에 의한 발화

    - 절연체에 먼지 또는 습기에 의한 트래킹 등의 절연파괴

    - 사용 부주의, 취급불량으로 절연피복 손상 및 절연재료 파손

    - 이상전압에 의한 절연파괴로 인한 코일 소손

    - 절연열화로 인한 발화 형태는 트래킹과 흑연화 현상이 일어남

    - 허용전류를 넘는 과전류에 의한 열적열화

     

     

    3) 외부 및 내부 화재감식요령

     

    ① 합성수지 케이스가 화염에 탄화되어 부하측과 전원측을 구별할 수 없을 경우

    : 회로시험기 등으로 저항을 측정하여 켜짐 (저항 0Ω ) 과 꺼짐 (저항∞) 상태 확인

     

    ② 플라스틱 케이스가 용융되어 내부스위치의 동작여부를 알 수 없는 경우

     : X - Ray 또는 비파괴시험기로 촬영하여 확인

     

    4) 전자개폐기 

    - 전기회로를 열고 닫는 기기

    - 외부 신호에 의해 부하전류를 켜고 끄는 기기

     

    ▶ 화재감식요령

    - 단자 부근 상하부 프레임 플라스틱 부분 손상이 적으면 외부화염에 의한 피해로 판정

    - 가동, 고정 코어 부위 높은 열의 흔적이 있거나 프레임 내부 손상이 심하면 전자개폐기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정

    - 조작코일 내부에서 층간단락 현상이 나타나면 전자개폐기 자체에서 시작된 것으로 판정

     

    ▶  차단기와 개폐기는 무엇이 다른가요?

    차단기는 한자로는 막을 차(遮), 끊을 단(斷)으로, 막아주고 끊어주는 기계

    -> 차단기는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선로를 차단하여주는 기기입니다.

     

    걔폐기의 한자는 열 개(開), 닫을 폐(閉)로, 선로를 열고 닫을 수 있게 해주는 기기

     

    차단기와 개폐기는 선로를 On-Off하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짐

    개폐기는 정상적인 전로에서도 사용자가 필요할 때 On-Off를 할 수 있지만 차단기는 전기 선로에 이상전류 발생이 예상되는 시점에서 이를 사전에 감지해 강제로 선로를 차단시킴

     

     

    출처: http://e-daco.net/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