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탄화심도
    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31. 00:22
    728x90
    반응형

    1. 탄화심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 포함하여야 할 부분을 계산식으로 쓰시오.(2019)

    답: A + B

     

    2. 탄화심도 측정 시 유의사항 5가지를 쓰시오. (2020)

     

    ① 동일 포인트를 동일한 압력으로 3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한다.
    ② 계침은 기둥 중심선을 직각으로 찔러 측정한다.
    ③ 계침은 삽입할 때는 탄화 및 균열 부분의 철 (凸) 각을 택한다.
    ④ 탄화깊이를 결정할 때 화재로 완전히 타버린 목재의 깊이를 고려하고, 전반적인 깊이 측정할 땐 분실된 목재의 깊이를 더한다.
    ⑤ 중심부까지 탄화된 것은 원형이 남아 있더라도 완전 연소된 것으로 간주한다.


    ● 탄화심도 

    - 화재열을 받고 있는 나무 같은 물체들이 시간이 지속됨에 따라 깊은 속 부분까지 침투되어 연소될때 그 나무 같은 물체의 가스가 빠져나온 구멍이나 갈라진 틈 사이의 깊이를 말한다 

     

    ▶ 탄화심도 측정 방법

    ① 동일 포인트를 동일한 압력으로 3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한다.
    ② 계침은 기둥 중심선을 직각으로 찔러 측정한다.
    ③ 계침은 삽입할 때는 탄화 및 균열 부분의 철 (凸) 각을 택한다.
    ④ 탄화깊이를 결정할 때 화재로 완전히 타버린 목재의 깊이를 고려하고, 전반적인 깊이 측정할 땐 분실된 목재의 깊이를 더한다.
    ⑤ 중심부까지 탄화된 것은 원형이 남아 있더라도 완전 연소된 것으로 간주한다.

    ⑥ 가늘어서 측정이 불가능한 것은 절단 후 목질부 잔존경 측정에 준하여 비교한다

    ⑦ 측정범위나 측정점은 발화부로 추정되는 범위 내에서 중심부를 선택한다

    ⑧ 중심부를 향한 부분과 이면부를 면별로 동일 방향에서 측정하고 칸마다 비교한다

    ⑨ 수직재와 수평재를 구별하고 재질이나 굵기에 따라 차별적 측정한다

    ⑩ 동일소재, 동일 높이, 동일위치마다 측정한다

    ⑪ 수직재의 경우 50, 100, 150cm 등으로 구분하여 각 지점을 측정한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