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기] 유해가스 처리기술 : 흡수법, 흡착법
    환경직공무원 2021. 10. 29. 11:25
    728x90
    반응형

    Q. 다음 중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흡수액의 구비요건 중 틀린 것은?

    용해도가 높아야 한다.

    휘발성이 커야 한다.

    점성이 비교적 작아야 한다.

    화학적으로 안정 되어야 한다.

     

    답: 2번 

     

     

    Q . 가스 중 특정성분을 고체 흡착제에 흡착시켜 분리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서 가장거리가 먼 것은?

    활성화에너지가 필요하며 흡착열도 비교적 큰 화학적 흡착은 비가역적이다

    입자들 간의 반데르발스 인력을 주로 이용하는 흡착법은 물리적 흡착이라 하며, 이는 비교적 흡착속도도 빠르다.

    물리적 흡착은 흡착열이 비교적 작지만, 온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온도가 낮을수록 흡착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임계온도이하의 모든 기체를 흡착하기 때문에 물질적 흡착은 비선택성 흡착이라 한다.

     

    답: 3번 

     

    Q. 흡착에 의한 유해가스의 처리에 있어 파과점을 지나 돌파현상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는가?

    배출가스의 양이 갑자기 감소한다.

    배출가스의 양이 갑자기 증가한다.

    배출가스중 오염물질 농도가 갑자기 감소한다.

    배출가스중 오염물질 농도가 갑자기 증가한다.

     

    답: 4번 

     

    Q. 화학적 흡착 및 물리적 흡착에 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물리적 흡착은 주로 반 데르 발스힘에 의한 것이다.

    화학적 흡착은 여러 분자층에서 흡착이 가능하다.

    물리적흡착은 가스중의 분자간 상호인력보다 고체 표면과의 인력이 크게 되는 때에 일어난다

    화학적 흡착의 결합력은 물리적 흡착의 결합력 보다 크며 비가역적이다.

     

    답: 2번 

     

    Q. 화학적 흡착에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대부분의 흡착제가 고체이다.

    여러층의 흡착층이 가능하다.

    흡착제의 재생성이 낮다.

    흡착열이 물리적 흡착에 비하여 높다.

     

    답: 2번 

     

    Q. 가스상 물질의 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흡착에 의한 처리 시 흡착장치에서 파과점에 도달하기 전에 공정을 중단하고 재생과정을 거쳐야한다.

    가열연소(간접연소)에 의한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가스 내에 가연성성분이 충분하여 자체로서 연소가 지속가능하여야 한다.

    염소, 불소화합물등은 일반적으로 수세에 의한 처리로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흡수 처리 시 흡수탑에서 흡수액에 비하여 가스량이 너무 많을 경우 상부익류(flooding)현상이 발생한다.

     

    답: 2번 


    흡착

     

    - 공기나 다른 기체 중에 함유된 습기를 제거하는 것 외에도 산업공정에서 배출되는 악취나 오염물질들을 제거하는데 유효하며 공기나 다른 기체로부터 유용한 용매의 증기를 회수할 수 있는 유해가스 처리기술

     

    물리적흡착, 반데르발스 흡착

     

    - 기체분자와 흡착제 간에는 물리적인 결합력으로 결합되어 있다

    - 물리적 흡착반응은 발열반응이고, 반데르발스 흡착은 온도가 증가하거나 압력이 감소하면 약해지므로 흡착제를 재생할 때 이 원리를 이용한다, 가역반응

    - 흡착이 다중층으로 일어나며 반응온도가 낮다

    - 흡착물질은 임계온도 이상에서는 더 이상 흡착되지 않는다

    - 임계온도이하의 모든 기체를 흡착하기 때문에 물질적 흡착은 비선택성 흡착이라 한다.

     

    화학적 흡착

     

    - 활성화에너지가 필요하며 흡착열도 비교적 큰 화학적 흡착은 비가역적이다

    - 흡착이 단일층으로 일어남

    - 반응온도가 높고 흡착제가 화학적 촉매역할을 하기 때문에 반응시간이 짧다

     

    흡착제

    - 활성탄 흡착제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 흡착제가 파괴점에 이를수록 제거 효율이 떨어진다

    -> 떨어진다면 배출가스 중 오염물질 농도가 갑자기 증가하게 된다

    - 비극성 고형 흡착제는 탄화수소와 같은 비극성 가스 물질 흡착에 주로 이용된다

    - 암모니아 가스는 극성흡착제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비극성 흡착제를 이용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다

     

    ○ 활성탄 흡착제

    - 분자량이 클수록, 불포화유기물이 존재할수록, 방향족 고리수가 많을수록, 용해도가 낮은 물질일수록 흡착이 잘된다

     

    Freundlich 등온흡착식

    - 흡착제의 단위질량당 흡착되는 물질의 질량을 정의하는데 사용

    - x / m = k x C ^(1/n) 으로 나타낼 수 있고 x/m은 흡착제의 단위질량당 흡착되는 물질의 양, kn은 실험으로 얻어지는 상수, C는 흡착되는 물질의 용액 중 평형농도를 나타낸다

    - 어떤 물질을 흡착공정에 의해 제거하려 할 때 필요한 흡착제의 양을 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