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발화지점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27. 15:45728x90반응형
1. 다음 그림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2013)
① 다음 그림에서 보여주는 화재형태는? V패턴
② ④ 연소확대 순서는? A -> B -> C -> D
+" ① " 화재형태를 설명하시오. : 발화지점에서 화염이 위로 올라가면서 밑면은 뽀족하고 위로 갈수록 수평면으로
넓어지는 연소형태이다.
+ 발화지점은 ? A
+ 외부의 특이한 영향이 없을 경우 연소확대되는 속도비율을 쓰시오.: 상측20, 좌우1, 하방0.3
2. 독립된 발화인데, 다수의 발화지점으로 오인할 수 있는 경우 5가지를 쓰시오
① 소락물에 의한 경우
② 덕트나 전선용 배관의 파이프 홀을 통한 화재 확산
③ 섬광화재에 의한 독립된 연소
④ 과전류에 의한 배선 및 접속기구 등에서 발화하는 경우
⑤ 압력에 의해 불씨가 이동되는 경우
3. 증거물을 통하여 발화지점을 감식하고자 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2017)(2020)
① 다음에서 설명하는 전기적 특이점에 대한 발화지점 규명 방법의 명칭을 쓰시오.
전기배선에서 아크(arc)가 수개소 발견된 경우 손상된 부분을 순차적으로 추적하여 발화지점 및 연소확산 경위 등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방법
- 명칭 : 아크매핑
② 전기배선 2번 지점에서 (Arc)가 발견된 경우 아크가 발생하지 않는 번호 및 이유를 쓰시오. (단, 전기배선 2번 지점이 아크(Arc)로 인하여 단선이 발생한 조건이다.)- 지점 : 3번
- 이유 : 2번에서 아크가 발생되어 발화되면 이후 부하측에서는 통전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4. 다음의 발화유형을 각각 2가지씩 쓰시오. (다만, 트레킹 현상은제외한다) (2018)
① 직렬아크 : 반단선, 접촉불량
② 병렬아크 : 합선, 지락
5. 밀집되어 있는 주거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인접한 건물이 전소되고 그림과 같은 합선흔적(단락흔)이 존재하였다. 그림에서 발화지점이 어디인지와 그 근거를 설명하시오 (단, 전기배선은 모든 방에 설치되어 있고 전선배치는 A와 B 모두 동일하고 어느 지점에서 합선이 일어나자마자 분전반의 메인차단기가 차단되어 전기가 통전되지 않는다)
① 발화지점 : A건물 1번
② 근거 : 조건에서 발화지점은 A건물 1번방 또는 B건물 1번방이어야 한다. 먼저, B건물 1번방에서 발화가 시작되었다면 전기적 단락이 일어나 최초 발화 후 전원이 차단되고 연소가 진행되면서 화재가 동번방 창문을 통해 인접한 A건물 2번방으로 연소가 확대된다면 최초 A건물의 2번방에서 1차 단락으로 발화 후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A건물 1번방에서는 단락흔이 없어야 한다. 반대로 A건물의 1번방의 단락으로 최초발화 후 전원이 차단되고 연소가 1번방에서 2번방, 그리고 2번방 창문을 통해 1번방 창문으로 연소가 확대되었을 때 B건물 1번방에서 전기적 단락으로 동번방에서 1차 단락흔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A건물 1번방이 최초발화지점이라고 추론가능하다
6. 건물 여러 채가 불타고 있을 때 발화건물 판정순서를 나열하시오. (2020)
화재현장 전체의 연소방향의 파악 ➞ 각 건물별 연소방향의 파악 ➞ 인접건물 간의 연소방향의 파악 ➞ 발화건물의 판정
728x90반응형'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제조물 책임법 (0) 2021.10.28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만곡, 철골조 (0) 2021.10.27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자연발화 (0) 2021.10.27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 용어, 화재조사서류 등 (0) 2021.10.26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화재패턴 (0) 2021.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