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기] 대기오염물질 라돈, 석면
    환경직공무원/대기 2021. 10. 25. 19:09
    728x90
    반응형

    Q. 유해물질인 라돈(222R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천연적으로 발생하며 토양, 시멘트, 콘크리드 및 지하수 등에 함유되어 있다.

    무색, 무취의 물질로 액화되어도 색을 띄지 않다.

    라돈입자는 폐에 흡입되어 알파선과 베타선을 방출해서 폐질환 및 조혈기능장애를 유발함

    라돈은 사람이 흡입하기 쉬운 가스상물질이며 고농도의 라돈에 폭로시 폐암발생의 위험성이 높다.

    반감기가 약 3.8일인 화학적으로 거의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불활성물질이다.

     

    답: 3번 

     

    Q. 실내오염물질 중 최근 WHO에서 폐암 발병 원인의 3~14%를 차지하는 물질로서 건물 내 허용기준을 10배 강화하기를 권고하는 Rn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라돈은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방사성물질 중의 하나로 라듐이 핵분열 할 때 생성되는 물질

    공기보다 약 9배 무거워서 주로 지면 가까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사람이 흡입하기 쉬워 주로 호흡기 계통의 질환과 폐암을 발생한다.

    실내 대기오염의 지표가 되는 ²²²Rn은 알파선을 방출하며 반감기는 약 3.8일이다.

    ∨④ 콘크리트, 시멘트, 지하수암석, 특히 화강암에서 방출되는 미세한 입자상물질이다.

     

    Q. 다음은 석면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바르지 못한 것은?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군수품 등 일부용도를 제외한 모든 석면함유제품의 국내 제조, 수입, 사용을 전면 금지하도록 했다.

    실내공간 오염물질로서 극세섬유상의 광물이다.

    반응성이 강하고 보온성이 높아 건축내장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청석면이 갈석면이나 백석면에 비해 독성이 가장 크며, 체내에 들어가면 조직과 염색체를 손상시켜 암(특히 폐암)을 유발한다.

     

    답: 3번 

     

    Q. 석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극세섬유상광물인 규산화합물로서 실내공기질 권고기준물질이다.

    보온성, 절연성 등이 탁월해 건축자재 단열재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오래된 건물을 철거할 때 대기 중으로 비산하며 몸속에 들어가면 폐암을 유발한다.

    광굴절율이 낮아 보통 현미경으로 구별, 분석한다.

    백석면<황석면<청석면 순으로 독성이 강하다.

     

    답: 3번 

     

    실내공간 오염물질

    1. 미세먼지(PM-10) 2. 이산화탄소(CO2;Carbon Dioxide) 3.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4. 총부유세균(TAB;Total Airborne Bacteria) 5. 일산화탄소(CO;Carbon Monoxide)

    6. 이산화질소(NO2;Nitrogen dioxide) 7. 라돈(Rn;Radon)

    8. 휘발성유기화합물(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9. 석면(Asbestos) 10. 오존(O3;Ozone)

    11. 초미세먼지(PM-2.5) 12. 곰팡이(Mold) 13. 벤젠(Benzene) 14. 톨루엔(Toluene)

    15. 에틸벤젠(Ethylbenzene) 16. 자일렌(Xylene) 17. 스티렌(Styrene)

     

    라돈 (Rn-222)

    - 주로 건축자재를 토해 인체에 영향을 미치고 화학적으로는 거의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흙속에서 방사선 붕괴를 일으킨다(알파 붕괴)

    - 라돈은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방사성물질 중의 하나로 라듐(Ra-226)이 핵분열 할 때 생성되는 물질

    - 공기보다 약 9배 무거워서 주로 지면 가까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사람이 흡입하기 쉬워 주로 호흡기 계통의 질환과 폐암을 발생한다.

    - 반감기가 약 3.8인 화학적으로 거의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불활성물질(불활성기체)

    - 환기시설이 불량한 건물 내, 지하철 역 내 등에서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 무색, 무취의 물질로 액화되어도 색을 띄지 않다.

    - 라돈은 Pb으로 최종적으로 안정화된다.

    - 천연적으로 발생하며 토양, 시멘트, 콘크리드 및 지하수 등에 함유되어 있고 주로 건축자재를 통해 인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라돈의 농도: 베크렐(Bq), 피코퀴리(pCi)로 표현

    - 공기 중 라돈의 농도: Bq/m3, pCi/L

    - Bq: 국제단위, 1Bq: 1초에 원자 1개가 방사성 붕괴할 때 나오는 방사선 양

    - Ci: 1g의 라듐이 1초 동안 붕괴할 때 나오는 방사선 양, 1초당 3.7x10^10개의 원자가 붕괴할 때 나오는 방사선 양과 같다

     

    석면

    - 극세섬유상광물인 규산화합물로서 실내공기질 권고기준물질이다.

    - 보온성, 절연성 등이 탁월해 건축자재 단열재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오래된 건물을 철거할 때 대기 중으로 비산하며 몸속에 들어가면 폐암을 유발한다.

    - 독성: 백석면() < 황석면 < 청석면

    - 규소, 수소, 마그네슘, , 산소 등의 원소를 함유하고 일반적으로 산화규소 형태임

    - 각섬석계: 청석면, 황석면

    - 사문석계: 백석면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