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반응형
약(藥)
- 질병이나 부상, 기타 신체의 이상을 치료 또는 완화하기 위해 먹거나, 바르거나, 직접 주사하는 등의 방법으로 생물에게 투여하는 물질을 통틀어 말한다.
- 영양제, 마약, 독약, 진통제, 마취제, 음식 등 약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약의 분류
- 일반의약품 (over-the-counter=OTC)
: 소비자가 의사의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는 약을 말한다.
: 약사가 근무하는 구역 밖의 공간에서 팔리는 약
- 전문의약품
: 의사의 처방을 통해서만 구매할 수 있는 약을 말한다.
: 대부분 병원에서 처방해주는 의약품의 종류들은 전문의약품에 속한다.
약의 종류
1. 각성제(覺醒劑, Stimulant)
각성제-위키백과 : 몸의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며 교감신경계를 흥분시키는 약물이다.
: 정신적, 육체적 기능에 일시적 개선효과가 있는 의약품을 말한다.
ex) 카페인, 니코틴, 암페타민, 코카인, 잔틴 등
2. 마취제(痲醉劑, anesthetic)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몸의 지각(감각)을 마비시키고 의식을 상실시켜 힘줄의 긴장과 반사를 제거하는 약물이다.
: 중추신경계의 기능을 가역적으로 억제하여 의식의 손실과 전신의 지각을 둔마 또는 소실시키거나 근육의 이완을 초래하는 약물
1) 전신마취제
: 마취제가 혈관을 통해 혈액을 통해서 뇌로 이동하여 뇌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둔해지면서 의식과 감각을 없는 상태에 도달하게 함.
성분 ex) barbiturates, benwodiawepines, Ketamine
2) 국소마취제: 신경 근처, 주변 신경들의 신호전달통로가 차단되어 감각이 없어지게 한다.
3. 비타민제(vitamin compound)
http://enfant.designhouse.co.kr/magazine/type2view.php?num=43946 : 비타민을 주성분으로 하고 몸의 중요한 기능을 하게 해주는 영양제다.
: 비타민제는 식사 직후 또는 식사 도중에 먹어야 한다.
: 한 번에 1일 용량을 다 먹기보다 나눠먹는 것을 권장한다.
1) 수용성비타민
- 비타민 B 복합체: 비타민B1(티아민), 비타민B2(리보플라빈). 비타민B3(니아신), 비타민B5(판토텐산), 비타민B6(피리독신), 비타민B7(바이오틴), 비타민B9(엽산), 비타민B12(코발라민), 비타민C(아스코르브산)
2) 지용성비타민
- 비타민A(레티놀)
- 비타민D(칼시페롤)(D2 에르고스테롤-에르고칼시페롤, D3 콜레칼시페롤-칼시트리올-칼시페디올, D4 다이하이드로에르고칼시페롤)
- 비타민E(토코페롤)
- 비타민K(K1 필로퀴논, K2 메나퀴논, K3 메나디온, K4 메나디올)
4. 소화제(消化劑, digestant)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uinjidae&logNo=130188843716 : 소화불량을 예방해주거나 음식물의 소화를 촉진시키는 약물이다.
: 소화를 돕는 효소들이 들어있는 약물
1) 소화효소제
: 위장관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를 보충해주는 약품들
성분 ex) 디아스타아제, 리파아제, 판크레아틴, 브로멜라민 등
2) 가스제거제
: 위장관에 배출되지 않는 가스를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
성분 ex) 시메치콘
3) 제산제
: 과도한 위산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성분 ex)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칼슘, 수산화마그네슘
4) 위장관점막보호제
: 위장관에 일시적으로 막을 형성해서 위장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성분 ex) 알긴산나트륨, 인산알루미늄
5) 위장관운동촉진제
: 위장관 운동을 촉진해서 소화를 촉진시키는 물질
성분 ex) 돔페리돈
6) 위장관운동완화제
: 위경련, 장의 불편함 등을 해소시키는 물질
성분 ex) 스코폴라민
7) 점막수복제: 양배추 점막보호 성분인 메틸메티오닌설포늄
5. 진통제(鎭痛劑, Anodynia, = 소염제)
▲ 국내에서 판매되는 아세트아미노펜∙이부르로펜 함량 대표적인 진통제(약학정보원 이미지 캡처) : 몸이 쑤시고 아픈 증상을 제거하거나 경감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의약품이다.
: 사람이나 동물이 신경을 통해서 아픔을 느끼기 때문에 신경의 기능을 마비시켜 아픈 부위에서의 전기적 신호를 차단해 뇌가 아픔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한다.
1) 진통효과만 있는 일반 진통제: 아세타아미노펜, 트라마돌
2) 스테로이드성 진통제
3)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 브루펜
4) 마약성 진통제 : 모르핀, 데메롤
6. 항생제(抗生劑, Antibiotic)
https://kr.123rf.com/photo_43656399_%EC%B2%98%EB%B0%A9-%EC%95%BD%EB%AC%BC-%ED%95%AD%EC%83%9D%EC%A0%9C.html :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물질이다.
1) 베타락탐계(β-lactams)
: 화학구조상 베타락탐 고리(β-lactam ring)를 기본 구조로 한다.
ex) 페니실린, 세팔로스 포린, 모노박탐(monobactam), 카바페넴(carbapenem)계 등의 약제
2)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Aminoglycosides)
: 대부분의 그람음성균에 항균력이 좋지만 혐기성 세균에는 항균력이 없으며, 경구 투여시 위장관에서 거의 흡수되지 않고, 혈관-뇌 장벽을 잘 통과하지 못한다. 신독성 및 이(耳)독성 등의 부작용이 잘 생기기 때문에, 특히 신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혈중농도를 측정해 가면서 주의해서 투여해야 합니다.
3) 마크로라이드계(Macrolides)
: “커다란 고리(large ring)”라는 뜻으로, 세균 리보솜의 50S와 결합하여 단백합성을 억제하므로 항균작용을 나 타냅니다. 14각형, 15각형, 16각형의 고리 구조로 되어 있음
ex)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아지트로마이신 (azithromycin), 클래리트로마이신(clarithromycin) 등.
4) 테트라사이클린계(Tetracyclines)
5) 글리코펩티드계(Glycopeptides)
: 세균의 세포벽 생합성을 억제하여 작용하는 강력한 항생제로, 주로 그람양성균에만 작용하는 비교적 좁은 항균영역을 갖고 있습니다.
ex) 반코마이신(vancomycin), 타이코플라닌(teicoplanin)
6) 린코마이신계(Lincosamides)
7) 퀴놀론계(Quinolones)
: 퀴놀론은 합성 화합물이며, DNA gyrase라는 효소를 억제하여 DNA의 복제를 방해하므로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8) 기타
: 이외에도 chloramphenicol, sulfa제 및 trimethoprim, polymyxin, bacitracin, mupirocin, fusidic acid, streptogramin, oxazolidinone 등 다양한 항생제가 과거로부터 또는 최근에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다.
7. 항염제(抗炎劑, Antiphlogistics, Anti-inflammatory, 소염제)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yoosungjin&logNo=220426263340&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 국소에 작용하여 염증을 제거하거나 염증과정 중 억제하는 약물
1) 스테로이드계
: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포함한 많은 스테로이드들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에 결합하여 붓기와 염증을 줄여준다.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2) 비스테로이드계
: 사이클로옥시나아제 효소를 저해하여 통증을 완화시킨다.
8. 해열제(解熱劑, Antipyretic)
https://yakup.com/news/news_print.html?nid=197601 : 체온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졌을 때 낮출 수 있는 의약품이다.
: 몸에 침입한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을 하기 위해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체온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성분ex) 아세틸살리시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멕시부프로펜
-> 이 성분들은 해열, 진통, 소염제의 역할도 함께 작용한다.
9. 호르몬제(Hormone drug)
‘훼라민큐(Q)‘는 식물성분의 여성 갱년기증상 치료제다. [사진 동국제약] [출처: 중앙일보] 호르몬제 부작용 이젠 걱정 마세요 독일서 개발한 여성 갱년기 치료제 : 호르몬의 생리학적 특성을 이용해 특수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는 약제다.
ex) 피임약 , 갱년기치료제
참고문헌
https://ko.wikipedia.org/wiki/%EC%95%BD https://namu.wiki/w/%EC%86%8C%ED%99%94%EC%A0%9C
https://namu.wiki/w/%EB%B9%84%ED%83%80%EB%AF%BChttps://ko.wikipedia.org/wiki/%EC%A7%84%ED%86%B5%EC%A0%9Chttps://health.cdc.go.kr/health/Resource/Module/Content/Printok.do?idx=4440&subIdx=1https://md2biz.tistory.com/292
728x90반응형'의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래끼, 눈 알레르기 약 처방 (0) 2019.05.21 내과에서 급성위장염 진단받고 약 처방받은 정보 (0) 2019.05.20 반전신 저림증상 신경외과 처방+약 정보 (0) 2019.05.16 반전신 저림증상으로 정형외과에서 진단+약처방정보 (0) 2019.05.12 목감기 걸렸을 때 처방받은 약 정보 (0) 2019.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