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질] 수질환경미생물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09:13728x90반응형
Q. 다음 중 조류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규조류는 광합성 생물로서 수중에 존재하는 실리카를 추출하여 세포골격을 만들며 수중동물의 먹이그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② 녹조류는 대체로 여름철에 가장 풍부하며, 선명한 초록색을 띠는 이유는 엽록소 a와 b, 크산토필 (xanthophyll), 카로테노이드 (carotenoid) 등의 광합성 색소가 복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③ 남조류는 bacteria에 가까우며, 내부기관 미분화되어 있고 단세포, 또는 세포가 여러개 집합된 선상체를 형성하거나 한천질 피막에 묻힌 균체를 형성한다.
④ 적조란 해수에서 부유생활을 하는 조류가 단시간내에 급격히 증식하여 물의 색을 변하게 하는 현상인데, 마지막단계에서 규조류가 급성장한다.
답: 4번
Q. 환경미생물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미생물계에 있어서 진핵세포와 원핵세포의 차이는 핵막의 유무뿐만 아니라 세포구조의 다른점에도 있다.
② 미생물의 성장단계 중 가장 성장이 빠른 단계인 대수 성장단계를 수처리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③ 진균류는 다핵의 진핵생물이며 비광합성이고 호기성이다.
④ 박테리아는 미세한 단세포생물로서 분열에 의해서 증식한다.
답: 2번
Q. 다음 환경에 관련된 미생물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미생물은 산소와 관련하여 호기성, 혐기성 두 가지로 구분된다.
② 친온성 박테리아는 35℃근방에서 잘 자란다.
③ 박테리아의 번식은 주로 세포분열에 의한다.
④ 유기물이 호기성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면 CO2, H2O 가 발생한다.
답: 1번
Q. 대장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인체의 배설물 중에 항상 존재한다
② 소화기 계통의 질병을 야기시킨다.
③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으면 모든 병원균은 사멸된 것으로 간주한다
④ 통성혐기성, 호기성의 간균으로 그람음성이다.
답: 2번
Q. 대장균이 검출될 경우 오염수로 판정된다. 그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대장균 자체가 검출이 용이한 병균이기 때문이다.
② 대장균은 반드시 저항력이 강한 병균과 공존하기 때문이다.
③ 인축의 배설물에 의한 오염이 이루어졌음을 뜻하고 병원성 세균의 존재 추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④ 대장균은 번식 때에 독소를 분비하여 인체에 해를 미치기 때문이다.
답: 3번
● 수질환경미생물
- 대체로 5~35도에서 온도가 10도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의 성장속도(반응속도)는 약 2배로 증가한다
● 조류, 플랑크톤, Algae
- 태양광은 조류 성장에 있어 제한인자이다
- 조류 성장의 주요 제한원소는 질소와 인 등이 있다
-> 질소와 인 등이 높으면 조류의 수는 급등한다
- 조류성장은 수중의 DO에 영향을 줌
- 조류가 이산화탄소를 섭취함에 따라 물 속의 알칼리도가 중탄산으로부터 탄산으로, 탄산으로부터 수산화물로 변화하는데 이때 총알칼리도는 일정하게 된다
- 조류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 차광막 설치, 질소와 인의 유입을 감소, 하수의 고도처리
● 대장균군
- 그람음성, 무아포성 간균으로 유당(젖당, 락토오스)를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발생하는 호기성균 또는 혐기성균
- 총 대장균군은 그람 음성의 무아포성 간균으로 락토오스를 발효시켜 35도에서 48시간 이내에 기체를 생성하는 모든 세균을 포하한다
- 분변성 대장균군은 온혈동물의 배설물 존재를 가리킨다
- E.coli는 총 대장균군에도 속하고 분변성 대장균군에도 속한다
- 대장군균은 병원성균보다 저항력이 강하며 검출법이 쉽다
- 대장균군은 인축의 장 또는 동물의 내장에서 가장 잘 서식한다
-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으면 병원성균도 존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 수계에서 대장균군이 많이 검출되었을 경우 분변성 오염물이 유입되었음을 의미한다
● Michaelis - Menten kinetics
- Monod식- μ는 S가 증가함에 따라 기질흡수기작이 포화될 때까지 증가함
- S>>Ks일 때 μ≃μmax728x90반응형'환경직공무원 > 수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질] 수심에 따른 , 계절에 따른 호소 성층현상 (0) 2021.11.02 [수질] 자정작용, 자정계수, Whipple 4지대 (0) 2021.11.02 [수질] 알칼리도, 알칼리도 계산 (0) 2021.11.02 [수질] 경도, 경도계산 (2) 2021.11.01 [수질] DO 용존산소량, 윙클러 아지드법 (0) 2021.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