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반단선, 트래킹
    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 2021. 10. 30. 00:08
    728x90
    반응형

    1.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2014) (2020)

    ① 트래킹:  전압이 인가된 이극도체 간 고체 절연물 표면에 오염물질(분진, 오존 등)이나 이를 함유하는 액체의 증기 또는 금속분 등의 도전성 물질이 부착하면 오염부 표면을 따라 미소전류가 흘러 발열이 지속되고 절연물을 탄화시켜 전극간에 탄화 도전로가 형성되는 현상

     

    ② 반단선:  전선이 절연피복 내에서 단선되어 그 부분에서 단선과 이어짐이 되풀이하는 상태 또는 완전히 단선되지 않을 정도로 심선의 일부가 남아 있는 상태

     

    2.  다음은 반단선에 대한 설명이다. O , X를 표시하시오 (2014)

    ① 단선측 소선의 일부에는 붙고 떨어지는 사이에 생기는 조그만 용융흔이 발생한다. (O)
    ② 단선측 선의 부하측 단선에는 반드시 단락흔이 발생한다. (X)
    ③ 여러개의 소선으로 구성된 전선이나 코드의 심선이 10% 이상 끊어졌거나 전체가 완전히 단선된 후에 일부가 접촉상태로 남아 있는 상태를 말한다. ( O)
    ④ 반단선은 외력 등 기계적 원인으로 발생한다. (O )
    ⑤ 반단선에 의한 용융흔은 전체적으로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 X )

     

    3. 화재가 발생한 전원코드의 형태적 특징을 묘사한 그림을 참고하여 발화원인 및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선행원인을 쓰시오(2018)

    ① 발화원인 : 반단선 

     

    ② 선행원인

    : 반복적인 굽힘이나 금속에 의해 절단될 때 단선율이 10% 이상 끊어졌거나 전체가 완전히 단선된 후에 일부가 접촉상태로 남아 있는 상태에서 발생한다

     

    4. 트래킹의 발생과정에 대해 쓰시오.(2015)(2016)

    ① 1단계 : 절연체 표면의 오염 등에 의한 도전로 형성
    ② 2단계 : 도전로의 분단과 미소 불꽃방전의 발생
    ③ 3단계 : 반복적 불꽃방전에 의한 표면 탄화


    ● 반단선 

    ① 정의

    전선이 절연피복 내에서 단선되어 그 부분에서 단선과 이어짐이 되풀이하는 상태 또는 완전히 단선되지 않을 정도로 심선의 일부가 남아 있는 상태

     

    ② 특성 

    - 반단선에 의한 용흔은 단선부분의 양쪽, 금속에 의해 절단된 단선에서는 전원측에만 발생한다 

    - 여러 개의 소선으로 구성된 전선이나 코드의 심선이 반복적인 굽힘이나 금속에 의해 절단될 때 단선율이 10% 이상 끊어졌거나 전체가 완전히 단선된 후에 일부가 접촉상태로 남아 있는 상태에서 발생한다

    - 반단선 상태에서 통전시키면 도체의 저항치는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국부적으로 발열량이 증가하거나 스파크가 발생하여 피복이나 주위 가연물에 착화되어 출화 

     

    ● 트래킹

    https://www.kfpa.or.kr/webzine/201912/sub/disasters6.html

    ① 정의

     전압이 인가된 이극도체 간 고체 절연물 표면에 오염물질(분진, 오존 등)이나 이를 함유하는 액체의 증기 또는 금속분 등의 도전성 물질이 부착하면 오염부 표면을 따라 미소전류가 흘러 발열이 지속되고 절연물을 탄화시켜 전극간에 탄화 도전로가 형성되는 현상

     

    ② 트래킹의 발생과정

    • 1단계: 절연체 표면의 오염 등에 의한 도전로 형성 
    • 2단계: 도전로의 분단과 미소 불꽃방전의 발생
    • 3단계: 반복적 불꽃방전에 의한 표면 탄화  

    https://www.kfpa.or.kr/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