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유기화학
[유기화학] 20. 카복실산 유도체 (1) - 친핵성 아실 치환 반응
심쁠
2019. 12. 18. 00:44
728x90
반응형
1. 카복실산 유도체의 명명법

2. 카복실산의 친핵성 아실 치환 반응
1) 반응성
- 입체 장애가 작을 수록 반응성이 좋다.
- 아마이드 < 에스터 < 싸이오에스터 < 산 무수물 < 산 염화물
- 반응성이 좋은 카복실산 유도체를 반응성이 덜한 카복실산 유도체로 변환시킬 수 있다.
2) 산 염화물로의 전환 반응

3) 산 무수물로의 전환 반응
- acetic anhydride 만 이 방법에 의해 합성된다.

4) 에스터로의 전환 반응
① SN2반응으로 에스터를 형성한다.
② Fischer 에스터화 반응
- 센 산 존재 하에 카복실산의 반응성이 크게 증가한다.
- 가역적 반응
- 알코올이 과량인 경우 에스터를 형성하지만 물이 과량으로 존재하는 경우 카복실산을 형성하는데 우세하다.
- 카복실산의 C-OH결합이 끊어지고 알코올의 RO-H의 결합이 끊어진다.

5) 아마이드로의 전환 반응

6) 알코올로의 전환 반응
- 수소음이온이 염기 또는 친핵체로 작용하면서 카복실산 음이온에서 반응이 일어나고 2가 음이온을 형성시킨다.
- 2가 음이온은 루이스 산인 알루미늄 화학종과 착무을 일으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반응이 어렵고 산의 환원은 에너지가 높고 반응시간이 길다.

- BH3 / THF 와 반응시키면 LiAlH4와 반응했을 때보다 1차 알코올로의 환원시키는데 반응이 상온에서 빨리 진행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