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소방간부 소방학개론 11번~20번 기출문제 풀이

심쁠 2021. 12. 27. 00:47
728x90
반응형

11. 전기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약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② 인산염류 소화약제

③ 중탄산염류 소화약제

④ 고체에어로졸화합물

⑤ 팽창질석・팽창진주암

 

답: 5번 

풀이 


12.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를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ㄴ.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ㄷ.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ㄹ.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ㅁ.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답: ㄴ,ㄷ,ㄹ,ㅁ

풀이 

ㄱ: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


1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 것은?

① 수용인원이 200명인 박물관

② 지하층에 있는 바닥면적이 300 m2 인 영화상영관

③ 바닥면적 합계가 1,000 m2 인 한방병원

④ 바닥면적 합계가 6,000 m2 인 물류터미널

⑤ 바닥면적 합계가 10,000 m2 인 농수산물공판장

 

답: 2번 

풀이 

 지하층에 있는 바닥면적이 500m2 인 영화상영관


14. 「119 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특수구조대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화학구조대 ㄴ. 수난구조대 ㄷ. 산악구조대 ㄹ. 고속도로구조대 ㅁ. 지하철구조대 ㅂ. 테러대응구조대

 

답: ㄱ,ㄴ,ㄷ,ㄹ,ㅁ

 

풀이 

특수구조대: 소방대상물, 지역 특성, 재난 발생 유형 및 빈도 등을 고려하여 시ㆍ도의 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지역을 관할하는 소방서에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설치한다. 다만, 라목에 따른 고속국도구조대는 제3호에 따라 설치되는 직할구조대에 설치할 수 있다. 

가. 화학구조대: 화학공장이 밀집한 지역 

나. 수난구조대: 「내수면어업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내수면지역

다. 산악구조대: 「자연공원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자연공원 등 산악지역

라. 고속국도구조대: 「도로법」 제10조제1호에 따른 고속국도(이하 “고속국도”라 한다)

- 교통사고 발생 빈도 등을 고려하여 소방청, 시ㆍ도 소방본부 또는 고속국도를 관할하는 소방서에 설치하되, 시ㆍ도 소방본부 또는 소방서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ㆍ도의 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른다. 

마. 지하철구조대: 「도시철도법」 제2조제3호가목에 따른 도시철도의 역사(驛舍) 및 역 시설


15.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재난관리 단계별 활동 내용 중 예방단계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재난에 대응할 조직의 구성 및 정비

ㄴ. 재난의 예측 및 예측정보 등의 제공・이용에 관한 체계의 구축

ㄷ. 재난 발생에 대비한 교육・훈련과 재난관리 예방에 관한 홍보

ㄹ. 재난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분야에 대한 안전 관리체계의 구축 및 안전관리규정의 제정

ㅁ. 재난관리자원의 비축・관리

 

답: ㄱ, ㄴ, ㄷ, ㄹ

풀이 

 

ㅁ. 재난관리자원의 비축, 관리는 대비단계이다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의 재난예방조치 등 (25조)

①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은 소관 관리대상 업무의 분야에서 재난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재난에 대응할 조직의 구성 및 정비

2. 재난의 예측 및 예측정보 등의 제공ㆍ이용에 관한 체계의 구축

3. 재난 발생에 대비한 교육ㆍ훈련과 재난관리예방에 관한 홍보

4. 재난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분야에 대한 안전관리체계의 구축 및 안전관리규정의 제정

5. 제26조에 따라 지정된 국가핵심기반의 관리

6. 제27조제2항에 따른 특정관리대상지역에 관한 조치

7. 제29조에 따른 재난방지시설의 점검ㆍ관리

7의2. 제34조에 따른 재난관리자원의 비축과 장비ㆍ시설 및 인력의 지정

8. 그 밖에 재난을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1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위험물은?

∙ 물질 자체에 산소가 함유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산소 공급이 없어도 점화원만 있으면 연소・폭발이 가능하다.

∙ 연소속도가 빠르며 폭발적이다.

∙ 가열, 충격, 타격, 마찰 등에 의해서 폭발할 위험성이 높으며 강산화제 또는 강산류와 접촉 시 연소・폭발 가능성이 현저히 증가한다.

 

① 유기과산화물 ② 이황화탄소 ③ 과염소산 ④ 염소산염류 ⑤ 알칼리금속

 

답: 1번 

풀이 

유기과산화물 - 제5류(자기반응성물질) 

이황화탄소 - 제4류(인화성액체) 특수인화물 

과염소산 - 제6류(산화성액체)

알칼리금속 - 제3류(금수성물질)

염소산염류 -제1류(산화성고체)


17.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중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구성할 수 있는 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헬륨 ② 네온 ③ 염소 ④ 질소 ⑤ 아르곤

 

답: 3번

할로겐화합물

- F, Cl, Br, I중 하나이상의 원소를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

 

불활성가스 

- He, Ne, Ar, N2 중 하나이상의 원소를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 


18. 다음 중 화학적 폭발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중합폭발 ㄴ. 수증기폭발 ㄷ. 산화폭발 ㄹ. 분해폭발

 

답: ㄱ, ㄷ, ㄹ 

물리적폭발(응상) 화학적폭발(기상)
증기폭발
수증기폭발 
과열액체 증기폭발 (BLEVE)
압력방출에 의한 폭발 (폭발적증발)
가스폭발 - 증기운폭발
분해폭발 - 아세틸렌, 과산화물, 다이너마이트, 산화에틸렌
분진폭발 - 석탄, 알루미늄 분진, 금속분, 전분, 밀가루 
분무폭발 - 윤활유 

고체폭발 - 화약류
중합폭발 - 염화비닐, 초산비닐, 시안화수소, 산화에틸렌 등 

19.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무창층(無窓層)이란 지상층 중 개구부 면적의 합계가 해당 층 바닥면적의 30분의 1 이하가 되는 층을 말한다. 이때 개구부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크기는 지름 50센티미터 이상의 원이 내접(內接) 할 수 있는 크기일 것

②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0.8미터 이내일 것

③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향할 것

④ 화재 시 건축물로부터 쉽게 피난할 수 있도록 창 살이나 그 밖의 장애물이 설치되지 아니할 것

⑤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부수거나 열 수 있을 것

 

답: 2번 

풀이 :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02미터 이내일 것

 


20. 부탄(Butane)이 완전 연소할 때의 연소 반응식이다. a + b + c 의 값은?

답: 31 

풀이 

a = 13, b = 8, c =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