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직공무원/대기

[대기] 고체연료, 액체연료, 기체연료

심쁠 2021. 10. 28. 11:27
728x90
반응형

Q. 연료의 착화온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연물의 증발량이 많을수록 낮아진다.

화합결합의 활성도가 클수록 낮아진다.

산소와의 친화성이 클수록 낮아진다.

활성화에너지가 클수록 낮아진다.

 

답: 4번 

 

 

Q. 석탄의 탄화도 증가에 따른 변화로서 옳지 않은 것은?

매연발생률이 감소한다.

고정탄소가 증가한다.

착화온도가 낮아진다.

발열량이 증가한다.

 

답: 3번 

 

Q. 석탄의 성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석탄 연소 시 잔류물인 회분 중 가장 많이 함유된 것은 SiO2이다.

점결성은 석탄에서 코크스를 생산할 때 중요한 성질이다.

건조한 석탄의 착화온도는 탄화도가 높을수록 착화온도는 낮아진다.

석탄의 휘발분은 매연발생의 요인이 된다.

 

답: 3번 

 

Q. 다음 중 액체연료의 특징이 아닌 것은?

단위 중량당의 발열량이 높아 대용량 설비에 적당하다.

고유황 성분이 많아 대기오염의 주원인이 된다.

연소 효율이 높고, 소량 공기로 완전연소되며, 검댕발생이 없다

저장, 운반이 용이하다.

 

답: 3번 

연소효율이 높고 소량공기로 완전연소되고 검댕발생이 없는 건 기체연료의 특징이다 

 

Q. 다음의 연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중유에는 A, B, C 중유가 있는데 이것은 인화점을 기준하여 분류된다.

기체연료는 연소시 공급연료 및 공기량을 밸브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부하변동범위가 넓다.

기체연료는 적은 과잉공기로써 완전연소가 가능하다.

액체연료는 계량이 용이하다.

 

답: 1번 

 

Q. 다음 중 기체연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연소효율이 높고 적은 과잉공기로도 완전연소가 가능하며 검댕이 발생하지 않는다.

부하의 변동범위가 넓고 연소의 조절이 용이하다.

연료속에 황이 포함되지 않은 것이 많으며 연소배출가스 중에 SO2가 생성되지 않는다.

발열량과 효율이 높고 저장, 운반이 용이하며 저장 중 변질이 적다.

 

답: 4번 

발열량과 효율이 높고 저장, 운반이 용이하며 저장 중 변질이 적은 건 액체연료의 특징이다 

 

Q. LNG의 주성분 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색

악취물질

혐기성분해가스

공기보다 가볍다

매립지에서 발생

 

답: 2번 

 

Q. 다음 기체연료 중 액화석유가스(LPG)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석유정제 때에 부산물로 생산되는 것과 천연가스에서 회수되는 것이 있으나, 전자의 것이 대부분이다.

비중이 공기보다 가벼워 인화 폭발 위험성이 높다.

탄소수가 3~4개까지 포함되는 탄화수소류가 주성분으로 액체에서 기체로 될 때 증발열이 있다.

상온에서 1020기압을 가하거나 또는 -49로 냉각시킬때 용이하게 액화되는 석유계 탄화수소가스이다

 

답: 2번

 

Q. 연료에 따른 연소의 종류에 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증발연소 : 연소속도는 가연성가스의 증발속도 또는 공기 중의 산소와 가연성 가스의 확산속도 중 더 느린 것에 의해서 지배된다.

표면연소 : 고체의 용해, 증발, 분해과정을 거쳐 발생되는 연소이다.

분해연소 : 고체를 가열하면 증발 전에 분해하여 휘발성분과 고정탄소로 된다.

발연연소 : 열분해 온도가 낮은 종이나, 목재 등의 연료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된 휘발분이 점화되지 않고 다량의 발연을 수반하는 연소형태인 열분해 발열반응을 발한다.

 

답: 2번 


고체연료

 

장점

- 연소성이 늦어 특수용도에 사용돔

- 인화, 폭발의 위험성이 적다

- 저장, 운반시에 노천야적이 가능하다

- 연소장치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단점

- 연소시 매연 발생이 심하고 회분이 많다

- 부하 변동에 적응성이 좋지 않다

- 운반 및 취급이 불편하고 점화 및 소화가 어렵다

- 사용 전에 건조 및 분쇄 등의 전처리가 필요하다

- 파이프 수송이 불가능하다

- 연소시 많은 공기가 필요하여 연소장치가 커진다

 

고체 연료 분석방법

- 공업분석: 휘발분+회분+수분+고정탄소=100으로 놓고 연료비를 산출한다.

- 석탄 연료비 = 고정탄소(100-수분-휘발분-회분) / 휘발분

- 원소분석: C,H,S,N,Ash,W(수분),O를 분석하여 연소계산의 기초로 사용

 

석탄

- 석탄의 탄화도가 증가하면 고정탄소, 착화온도, 발열량, 비중, 연료비가 증가하고 수분, 휘발분, 매연, 비열, 산소량은 감소한다

- 무연탄의 탄화도가 가장 크고 이탄이 가장 적다

 

석탄의 착화온도

- 탄화수소의 분자량이 클수록

- 산소농도 및 압력이 높아질수록, 산소와의 친화성이 클수록

- 활성화에너지가 작을수록

- 비표면적이 클수록 -> 착화온도는 낮아진다

- 화합결합의 활성도가 클수록

- 동질성물질에서 발열량이 클수록, 가연물의 증발량이 많을수록

- 분자구조가 복잡할수록

석탄의 회분

- 회분은 산화된 무기물이며 이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철(Fe2O3),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칼슘(CaO)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 중 융점이 높고 백색에 가까운 이산화규소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

- 회분의 용융점은 100~1500, 회분이 많아지면 저하 및 연소불량이 생김

 

석탄의 코크스

- 코크스는 휘발분이 거의 없어 매연이 생기지 않고 주성분은 탄소이며 원료탄보다 회분 함량이 많아짐

 

석탄의 점결성

- 석탄을 건류하면 점점 연화용융되어 분해하기 시작한다

- 이때 가스와 타르를 발생시키고 코크스를 남기는 경우와 전혀 연화용융되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석탄의 건류 시 연화용융의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을 점결성이라고 한다

- 코크스(강점결탄)을 생산할 때 중요한 성질 중 하나이다

 

석탄의 역청탄

- 산업용으로 사용되고 발전용, 보일러용으로 사용됨

- 착화온도는 330~450도 이고 연소시 황색화염을 수반하며 건류하여 코크스, 석탄타르, 석탄가스 등을 생산하는데 사용됨

 

액체연료

 

장점

- 발열량이 높고 품질이 일정하여 효율이 높다

- 저장 및 운반, 계량이 용이하다

- 회분이 거의 없어 재의 처리가 필요없다

- 점화, 소화 및 연소조절이 용이하다

- 단위 중량당 발열량이 높아 대용량 설비에 적당하다

 

단점

- 연소온도가 높아 국부적인 과열을 일으키기 쉽다

- 인화 및 역화의 위험이 크다

- 버너 종류에 따라 소음발생이 있다

- 황 함량이 많아 대기오염의 원인이 된다

 

석유

비중

- 비중이 증가하면 C/H비가 커지고 발열량은 감소하고, 화염의 휘도가 커지고 점도가 증가하며 인화점과 착화점이 높아진다

 

점도

- 점도는 유체가 운동할 때 나타내는 마찰의 정도이며 절대점도의 단위는 Poise(g/cm·sec)라고 한다

- 절대점도를 유체의 밀도로 나눈 것을 stoke(cm2/sec)라 한다

- 석유의 점도가 작아지면 유동성이 좋아져 분무화가 잘되고 인화점, 끓는점이 낮아져 연소가 잘됨

 

인화점

- 액체 연료에서 가연성 증기를 발생시키는 최저온도, 즉 가연물이 불씨 접촉에 의해 불이 붙는 최저온도를 인화점이라고 한다. 인화점이 낮을수록 연소는 잘되고 역화의 위험성은 커지고 인화점이 높은 경우 착화가 어렵다

 

발열량

- 석유의 발열량은 대체로 9500~12000kcal/kg정도이고 일반적으로 비중과 비점이 커질수록 발열량이 감소한다

 

유등점

- 유체의 온도를 서서히 냉각했을 때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최저온도를 말함

- 유동점이 높으면 장치의 고장이 잘 일어남

- 점도가 낮을수록 유동점이 낮아진다

 

증기압: 석유의 증기압은 40도에서의 압력을 나타냄

- 증기압이 큰 것은 저장, 운반시에 손실을 가져오고 인화점 및 착화점이 낮아 위험함

- 증기압이 낮으면 인화점이 높아 연소효율이 떨어짐

 

옥탄가

- 가솔린의 안티 노킹성을 표시하는 척도

- Iso-octanen-heptane의 혼합을 100으로 기준해서 이소옥탄의 함량을 말함

- n-paraffine에서는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옥탄가가 떨어져 C7에서 0이다

- iso-paraffine에서는 메틸기가 많을수록 옥탄가는 증가한다

 

종류

- 원유를 증류하면 나프타,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 순으로 분리되고 최후에 아스팔트가 남음

- 중질유: 방향족계 화합물 30%이상 함유, 밀도 및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음

- 경질유: 방향족계 화합물 10%미만 함유, 밀도 및 점도가 상대적으로 낮음

- 가솔린, 등유, 경유는 비등점과 인화점이 낮고 분무화가 잘되어 연소에 문제가 없다

- 비등점이 높은 순서: 중유 > 경유 > 등유 > 휘발유

- 황 비율: LPG < 휘발유 < 등유 < 경유 < 중유

 

○ 중유

 

- 잔류 탄소의 함량이 높은 경우 점도가 높게 된다

- 비등점과 인화점이 높아 완전연소가 어렵고 회분이나 황의 함량이 높아 대기오염의 문제를 가짐

- 유동점은 중유를 저온에서 취급할 때 그 난이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함

- 중유는 점도에 따라 A,B,C로 분류됨

- C중유: 황분이 가장 많고 이 이유로 대기오염의 주범은 공장에서 배출되는 아황산가스(SO2)라고 할 수 있다

 

기체연료

 

장점

- 연소효율이 높고 적은 과잉공기로도 완전연소가 가능하며 검댕이 발생하지 않는다.

- 부하의 변동범위가 넓고 연소의 조절이 용이하다.

- 연료 속에 회분이나 황이 포함되지 않은 것이 많으며 연소배출가스 중에 SO2가 생성되지 않는다.

- 연소시 공급연료 및 공기량을 밸브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부하변동범위가 넓다

- 연료의 예열이 쉽고 저질연료로 고온을 얻을 수 있다

 

단점

- 저장 및 수송이 어렵고 시설비가 많이 든다

- 공기와 혼합하여 점화할 때 누설에 의한 역화, 폭발 등의 위험이 있다

 

LNG

- 무색, 혐기성분해가스

- 공기보다 가볍다

- 매립지에서 발생

 

LPG

- 석유정제 때에 부산물로 생산되는 것과 천연가스에서 회수되는 것이 있으나, 전자의 것이 대부분이다.

- 탄소수가 3~4개까지 포함되는 탄화수소류가 주성분으로 액체에서 기체로 될 때 증발열이 있다.

- 상온에서 1020기압을 가하거나 또는 -49로 냉각시킬 때 용이하게 액화되는 석유계 탄화수소가스 - 상온, 상압에서 기체이고 가압, 냉각시 쉽게 액화되어 저장 및 수송이 쉽다

- 대부분 석유 정제시에 얻을 수 있다

- 연료비가 비싼 편

- 가스 비중이 공기보다 무거워 누출 시 건물의 바닥에 모인다

- 증발열이 커서 취급이 위험하고 열손실이 큰 편이다

 

천연가스

- 메탄이 주성분이다

- 다른 기체연료보다 폭발한계가 좁고 화염전파속도가 늦어 안전하다

- 200기압 정도로 압축하면 옥탄가가 높아 자동차 연료로도 사용 가능하고 질소성분이 거의 없다

 

연소의 종류

 

표면연소 - 코크스, 목탄

- 휘발성 성분이 없는 고체연료의 연소형태

 

분해연소 - 목재, 석탄, 타르

- 열분해에 의한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고 이것이 긴 화염을 발생시키면서 연소함

- 고체, 액체연료의 두가지 연소형태로 존재함

- 고체를 가열하면 증발 전에 분해하여 휘발성분과 고정탄소로 된다

 

증발연소 - 휘발유, 등유, 알코올, 벤젠

- 화염으로부터 열을 받으면 가연성 증기가 발생하면서 연소됨

- 연소속도는 가연성가스의 증발속도 또는 공기 중의 산소와 가연성 가스의 확산속도 중 더 느린 것에 의해서 지배된다.

 

확산연소 - LPG, LNG

- 공기와 혼합하여 확산연소된다

 

자기연소(내부연소) - 나이트로 글리세린

- 공기 중의 산소 공급없이 물질 분자 내에 함유되어있는 산소를 이용하여 연소함

 

그을림 연소: 숯불과 같이 불꽃을 동반하지 않는 열분해와 표면연소의 복합형태의 연소

 

발연연소

- 열분해 온도가 낮은 종이나, 목재 등의 연료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된 휘발분이 점화되지 않고 다량의 발연을 수반하는 연소형태인 열분해 발열반응을 발한다.

728x90
반응형